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양군 목면 안심리 마근동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봉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박봉서 |
지역개관 |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안심리 마근동은 건지동, 시장 등으로도 불린다. 마근동은 삼을 많이 심어 붙여진 이름이다. 구로봉 산밑의 건지동은 비결에 따르면 장군대좌가 있다는 설이 있어서 외지로부터 찾아오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87호가 살며, 생업은 논농사외에 특수작물로 담배․구기자․열무종자 등을 많이 한다. 권씨들이 많이 살았으나 현재는 각성이 산다. 항일의병장 권흥규 순열비가 마을에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1월 9일에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 안심리 마근동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박봉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마을에서는 논을 네 번 맨다. 호미로 논을 매기 전, 모를 심고 18~20일 쯤 되면 손으로 풀을 뽑는다. 아시와 두벌을 호미로 매고 만물을 한다. 호미로 논을 맬 때 논매기가 수월하면 <상사디야>를 부르고, 논매기가 힘들 때 <얼카덩어리>를 한다. 논을 맬 때는 우측(호미잽이)이 앞서 가고 좌측(지심잽이)이 맨 뒤에 따라가는 대각선 형태를 이룬다. 이 양쪽에서 논매는 사람을 베루잡이라고 한다. |
가사 |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가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지심잽이로1) 손을 돌리어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가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베루는2) 빨리를 돌어를 가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가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그냥 저냥 잘 매지 말고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가래만3) 뜨지 않게 잘 매어주소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베루는 빨리를 돌어를 봐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가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베루는 빨리 돌아를 봐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호미잽이루4) 돌려라 빨리 돌려라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가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둥실 둥실두 뎅이가5) 굴러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가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물 놓치지 말고 잘들 매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가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이 배미 다 매고 저 배미루 건너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서마지기 배미 다 매고 두마지기 배미 남었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베루는 뚤어요 몬들일세6)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얼카덩어리 잘 넘어가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슬슬 밀어요 빨리를 밀어요 얼카덩어리 잘 넘어간다 어하디여차 어하디여차(다같이) 1)지심잽이: 선발대로서 좌측 맨 앞에 서서 논매는 사람. 2)베루: 벼루잡이. 지신잽이, 호미잽이와 같이 양쪽 가장자리에 서서 논매는 사람. 3)가래: 논 잡초 중에서 가장 억센 풀. 바닥에 넝쿨이 심하게 벋는다고 함. 4)호미잽이: 선발대로서 우측 맨 앞에 서서 논매는 사람. 5)뎅이: 논매면서 파낸 흙덩이. 6)몬들: 논맬 때 거의 다 매고 마지막에 논매는 사람들이 뭉쳐 돌아가는 것. 7)슬슬 밀어요:40-50명이 한 논에서 모들을 할 때 호미로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슬슬 잘 밀어 조심하라 는 뜻이라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