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노젓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노젓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의 [조기잡이] 노젓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125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충청남도 > 태안군 |
생산지역 상세 | 안면읍 황도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11 , [조기잡이]노젓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노젓는소리 , 충청남도 , 충남 , 태안군 , 1993 , 1995 , 노젓는소리 , 강대성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강대성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강대성 |
지역개관 | 황도(黃島)는 주민들에 의해 똥섬․외섬이라고도 불려지는데, 큰말․응그지․집너머․진잘미․살마금(작은, 큰살마금), 당너머․벌더금․서가금(아래, 위서가금)등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해마다 당제를 지내는데, 음력 정월 초이튿날 자정이 넘어 1, 2시 이후부터 시작하여 밤을 세워 지내고 다음날 기를 내리는데 당에는 남녀신이 화사으로 모셔져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25일에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읍 황도리에서 채집한 노젓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강대성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노를 저으며 부르는 노젓는 소리이다. |
가사 | 순풍에 돛을 달고
어어하 어-어어어- 어어-에-- 어-아 어어어 에--- 어여어 디여차 만경 창파로 떠나간다 어어하 어-어어어- 어어-에-- 어-아 어어어 에--- 어여어 디여차 이물대 꼬작이다1) 붕기를2) 꽂고 어어하 어-어어어- 어어-에-- 어-아 어어어 에--- 어여어 디여차 허리대 꼬작이다3) 장화만4) 늘여라 어어하 어-어어어- 어어-에-- 어-아 어어어 에--- 어여어 디여차 (“자 한배 잡으시께 말이지 고장으로 돌아가야 하지 않겄나“) 가세 가세 어서가세 어어하 어-어어어- 어어-에-- 어-아 어어어 에--- 어여어 디여차 우리 고장 어서가세 어어하 어-어어어- 어어-에-- 어-아 어어어 에--- 어여어 디여차 (자진가락으로) 어야 디여차 어야 디여차 어야 디여차 어야 디여차 어야 어야 어야 어야 1)이물대 꼬작: 배의 앞머리에 있는 대꼬챙이. 2)붕기: 댓가지에다 하얀 종이를 돌려 꾸민 긴 장대기로 고기가 많이 잡혔을 때 꽂는다고 함. 이 마을에서는 섣달 그믐날 붕기고사를 지내며 만선하고 들어오면서 부르는 붕기타령이 전승된다 3)허리대 꼬작: 배의 허리 부분에 있는 대꼬챙이. 제보자는 허리대가 고물대와 마찬가지라고 함. 4)장화: 하양 노랑 파랑 빨강 남색의 다섯가지 천으로 만든 오폭 기. |
유형구분 | 시대구분 | 자료명 |
---|---|---|
기관아카이브 | 2021 | 아리수의 노젓는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