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한글뒤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태안군 근흥면 마금리의 한글뒤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래황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래황 |
지역개관 | 태안군은 충청남도의 서부 태안반도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육지로 서산군에 접해 있고, 북으로는 대산을 마주하여 가로림만이, 남으로는 홍성을 마주하여 천수만이 있으며, 서쪽은 황해와 접하고 있다. 지형은 산지 내의 구릉성 산지의 지세를 나타낼 뿐 일반적으로 높이가 낮고 평탄한 지형으로 이루어 졌다. 때문에 대부분 120m 이하의 기복량을 나타내고 완경사 지형으로 이루어져 규모가 큰 하천은 발달하지 못하였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2월 9일에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마금리에서 채집한 한글뒤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래황이 참여하였다. |
가사 | 가나다라마바사아차 잠깐 잊었구나
기역 니은 디글 리을 기역자로다 집을 짓고 지귿 지귿이 사자고더니 인연이 지중치1) 못허구나 가 갸 거 겨 가련허구나 이 내 몸은 거지없이만이2) 되었구나 고 교 구 규 고생하던 우리 낭군 구관허기가3) 짝이 없네 나 냐 너 녀 나귀 등에 솔질을 하여 조선 십삼도 유랑가자 노 뇨 누 뉴 노세 노세 젊어서 놀아 늙고 병들면 못 노느니 다 댜 더 뎌 다시 곰곰 생각을 허니 그대 사귄기 웬수로다 도 죠 두 쥬 도로중에 행객들아 한양 갈 길을 일러나 주면 도로변에 비가 서리4) 나 랴 너 려 나려 가는 원앙새야 너와 나와 짝을 짓자 노 료 누 류 노류장화는 인계가절 처처마다 다 있건만 마 먀 머 며 마자 마자 마자고더니 임의나 생각이 다시 나네 모 묘 무 뮤 모지도다 모지도다 한양 낭군이 모지도다 바 뱌 버 벼 밥을 먹다도 임 생각나면 목이 메어서 못 먹겠네 보 뵤 부 뷰 보고 지고 보고 지고 한양 낭군을 보고 지고 사 샤 서 셔 사신 행차5) 바쁜 길에 중간 참이가6) 늦어 간다 소 쇼 수 슈 소슬 한풍7) 찬 바람에 울고 가는 저 기럭아 임 계신 곳을 알거들랑은 이 내 소식을 전코가라 아 야 어 여 아서라 담쓱 안았던 손이 인정없이만이 떨어진다 오 요 우 유 오동복판 거문고에 새 줄을 매고서 타느라니 백학은8) 벌써 다 짐작하고 우줄우줄이 춤을 춘다 자 자 저 져 자주 종종 만나던 님이 영 소식이 무소식일세 저 져 주 쥬 조별9) 낭군은 내 낭군인데 편지 일장이 돈절이라10) 자 차 저 쳐 차라리 죽었더라면 이런 고생을 아니허지 처 쳐 추 츄 초당11) 안에 깊이 든 잠 학의 소래 놀라 깨니 그 학 소리는 간 곳이 없고 들리느니 물소래라 가 갸 거 겨 용천검12) 드는 칼루 이내 목을 베어주오 고 교 구 규 클클이 설은 하늘 어디 누구가 동정허나 타 탸 텨 텨 타도타도 월타도 허니 누구를 바라고 여기 왔나 도 초 튜 추 토지지신은 감동을 허사 임 보기만이 도와주오 파 퍄 퍼 펴 파오 파오 보고 파오 임의 환상 보고파오 포 표 푸 퓨 폭포수 깊은 물에 풍기둥 덩실 빠졌더라면 이런 고통을 아니받지 하 햐 허 혀 한양 낭군은 내 낭군인데 편지 일장이 돈절이라 호 효 후 휴 호엽허게13) 먹은 마음 단 사흘이 못 다가서 임의 생각이 또 나누나 과 궈 나 눠 영위14) 과천 지날 적에 과문 불입이15) 웬 말이요. 1)지중(至重)치: 중요하지. 2)거지없이: 아무것도 없이 또는 갈 곳 없이. 3)구관허기가: 불쌍하기가. 4)비가 서리: 비석이 서리. 5)사신행차(使臣行次): 임금이 보낸 신하들의 행렬. 6)중간 참: 중간에 먹는 새참밥. 7)소슬 한풍(蕭瑟 寒風): 가을에 으스스하고 쓸쓸하게 부는 차가운 바람. 8)백학(白鶴): 흰 학. 9)조별(早別): 일찍 헤어짐. 10)돈절: 완전히 끊어짐. 11)초당(草堂): 집의 안채 밖에 억새, 집 등으로 지붕을 인 조그마한 집채. 12)용천검(龍泉劍): 용천은 용연(龍淵)이라고도 하는데 태아(太阿)와 함께 고대의 명검으로 알려져 있다. 13)호엽허게: 호협(豪俠)하게. 호방하고 의협심이 있게. 14)영위(靈位): 혼백의 신위, 위패. 15)과문불입(科門不入): 과거보는 문에 들어가지도 못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