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광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광순 |
지역개관 | 결성면(結城面)은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으로 면소재지가 읍내리이다. 금리천이 면의 중앙을 남동류하여 황해로 빠져 흐르는데, 하천유역에는 충적지가, 면의 북부에는 간척지 평야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신금성을 중심으로 농사와 농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판소리의 전승지로 영조때의 명창 최선달(崔先達)과 한말의 김창용(金昌龍)명인 등이 대를 이어 내려 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8일에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 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광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홍성군을 중심으로 불리는 모심는 상사소리이다. 어럴럴럴 상사디를 반복한다. |
가사 | 어럴럴럴 상사디 어럴럴럴 상사디 헤헤허여루 상사디여
(후렴) 어럴럴럴 상사디 어럴럴럴 상사디 헤헤헤여루 상사디요 한일자로 늘어서서 입구자루 심어보세 어럴럴럴 상사디 여보시오 농부님네 정심들여서1) 잘 심어보세 어럴럴럴 상사디 쥔 양반은 좋아라고 닭 잡고 술 주기는 여반장이요2) 어럴럴럴 상사디 서마지기 논배미가 반달만큼 남었구나 어럴럴럴 상사디 반이 되어 반달이냐 초생달이 반달이지 어럴럴럴 상사디 오늘 해도 다 갔는디 골목골목이 연기가 난다 어럴럴럴 상사디 이 논배미 얼른 심고 장구배미루 넘어를 가세 어럴럴럴 상사디 잘 심는다 잘 심는다 우리 농군들 잘도 심네 어럴럴럴 상사디 천하일색 양귀비도 죽어지면 그만이요 어럴럴럴 상사디 당명황네 양귀비여 이도령은 춘향이라 어럴럴럴 상사디 앞가심에3) 붙여 심고 어덕 밑이는4) 떼어심세 어럴럴럴 상사디 어럴럴럴 상사디 (후렴) 어럴럴럴 상사디 앞가심이 붙여 심고 어럴럴럴 상사디 어덕밑이 띠어 심세 어럴럴럴 상사디 금년 농사는 대풍이요 어럴럴럴 상사디 풍년들면 놀자겠지 어럴럴럴 상사디 잘도 논다 잘 노네 어럴럴럴 상사디 금년 농사 대풍이요 어럴럴럴 상사디 풍년들면 놀자겠지 어럴럴럴 상사디 놀어보세 놀어봐 어럴럴럴 상사디 잘도 논다 잘 놀아 어럴럴럴 상사디 놀자 놀자 어럴럴럴 상사디 1)정심(正心) : 또는 정성. 2)여반장(如反掌) : 손바닥 뒤집는 것처럼 쉽다. 3)앞가심 : 논의 들머리가 있는 주변. 4)어덕 밑 : 논둑 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