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건쟁이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의 논매는소리-건쟁이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광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광순 |
지역개관 | 결성면(結城面)은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으로 면소재지가 읍내리이다. 금리천이 면의 중앙을 남동류하여 황해로 빠져 흐르는데, 하천유역에는 충적지가, 면의 북부에는 간척지 평야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신금성을 중심으로 농사와 농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판소리의 전승지로 영조때의 명창 최선달(崔先達)과 한말의 김창용(金昌龍)명인 등이 대를 이어 내려 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8일에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서 채집한 건쟁이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광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를 심고 제일 먼저 손으로 논을 매면서 부르는 <건쟁이소리>이다. 보편적으로 <건쟁이소리>는 만물소리와 같은 데 결성민요에서는 손으로 매는 두벌과 만물을 할 때 <민생이(먼생이,긴소리)>를 한다. 건쟁이는 할 수도 안할 수도 있다. 받는 소리 어기야하는 결성면이 지리적으로 바다와 인접하여 어로요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 |
가사 | 어기야하
어기야하 어허디여차 어기야하 밀었다 닥쳤다 어기야하 팔대심1) 딜여가지고 어기야하 저쪽의 피포기2) 어기야하 이쪽의 올망대3) 어기야하 정심들여 뽑아요 어기야하 우수경첩에 어기야하 대동강 풀리고 어기야하 정든 님 말씀에 어기야하 요내 속 풀린다 어기야하 청천 하날에 어기야하 별도 많구요 어기야하 요내 가슴이 어기야하 수심뿐이라 어기야하 뒷동산의 어기야하 고목남게는4) 어기야하 날과 같이도 어기야하 속이 썪누나 어기야하 속 썪으니 어기야하 남이 아느냐 어기야하 겉이 썪어야 어기야하 남이 알지 어기야하 니나 내나 어기야하 속 썪는 줄을 어기야하 어느 장부가 어기야하 알아 줄소냐 어기야하 청천 하늘에 어기야하 잔 별두 많고요 어기야하 요내 가슴이 어기야하 수심뿐이라 어기야하 달아 달아 어기야하 밝은 저 달 어기야하 무정 세월아 어기야하 가지 말어라 어기야하 아까운 농군들 어기야하 늙어간다 어기야하 어기야하 어기야하 어하디야 어기야하 양배기는5) 어기야하 빨리 가고 어기야하 가운 데는 어기야하 천천히 맵시다 어기야하 앞을 보고 어기야하 옆두 보며 어기야하 몬들가락에 어기야하 정싱들여서 어기야하 매여보세 어기야하 잘도 맨다 어기야하 잘도 매여 어기야하 우리 농군들 어기야하 잘두 맨다 어기야하 어서 매고 어기야하 집이 가세 어기야하 청천 하날 어기야하 달 뜨기전에 어기야하 어서 빨리 어기야하 매여 보세 어기야하 우리 농군들 어기야하 잘두 맨다 어기야하 다 맸네-- 1)팔대심: 팔의 힘. 2)피포기: 잡초. 3)올망대: 잡초. 4)고목남게: 고목나무. 5)양배기: 논 양쪽 끝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