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민생이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의 논매는소리-민생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양섭, 최광순 |
---|---|
실연방법 | 메기고받는소리,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양섭, 최광순 |
지역개관 | 결성면(結城面)은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으로 면소재지가 읍내리이다. 금리천이 면의 중앙을 남동류하여 황해로 빠져 흐르는데, 하천유역에는 충적지가, 면의 북부에는 간척지 평야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신금성을 중심으로 농사와 농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판소리의 전승지로 영조때의 명창 최선달(崔先達)과 한말의 김창용(金昌龍)명인 등이 대를 이어 내려 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8일에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서 채집한 민생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양섭, 최광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 소리를 <진소리>라고도 한다. 두벌,세벌(만물)을 손으로 매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산여>는 “소리 해라”는 뜻이고 보통 오후 서 너시경에 소리를 시작한다. <산여>를 선소리가 하면 <좋다>를 한 명이나 두 명이 옆에서 받아 주며 소리가 시작된다. <두레소리>,<마루소리>는 여러명이 받아 부른다. <산여> <두레> <마루>를 계속 돌아가면서 부르다 논을 거의 다 매갈 때 부터 끝까지 마무리 소리인 <먼들산여>를 부른다. <산여> <두레> <마루>는 제창 형식을 띤 매기는 소리이고 <좋다>가 독창으로 받는 소리 형식을 가지는 특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먼들산여>는 전형적인 선후창 형식이다. 결성면에만 있는 아주 발달된 소리이다. 서산,당진등의 지역에서도 <민생이(먼생이,맨생이)소리>를 만물소리로 있으나 음악적인 연관성은 별로 없다. |
가사 | <산여>
아니나 넘어-이-에- 늙어 늙어--이-야- 늙어- 에-헤- <좋다> 좋다 얼씨구 절씨구 패랭이1) 꼭지에 기화를2) 꽂고 해오라기3) 춤을 너울너울 춘다 에-헤- <두레소리> 이에-- 이-여- 어-- 이-- 어-- 이-히 <좋다> 좋다 얼씨구 절씨구 천하지대본은 농사밖이 또 있느냐 에-헤- <마루소리> 오아- 아- 아--아-하-아- 하아하헤-헤- 에-헤- 이-히- <좋다> 좋다 얼씨구 절씨구 오동복판 거문고는 줄만 굴러도 소리가 난다 에-헤 <몬들산여> 이-히이 에헤- 올 농사 잘 져서 국가에 상납하고 부모 봉양하고 어린 처자 배 채워보세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이-히- 에헤-에 인간 칠십은 고래희요 무정세월은 약유팔세4)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이-히- 에헤-에 우리가 살면 멫백년이나 사나 살어 생전이 농부가도 하고 흥겨웁게 세월을 보냅시다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이-히- 에헤-에 오동복판 거문고는 줄만 굴러도 소리가 나네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이-히- 에헤-에 패랭이 꼭지다 기화를 꽂고 해후래기 춤만 너울너울 춘다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이-히- 에헤-에 오라버님 장갈랑 명년이 들구 농기 또 팔아서 나를 혀주게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이-히- 에헤-에 시집살이 못하면 친정살이는 허여도 술 담배 굶구는 나 못 살겄네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이-히- 에헤-에 꽃을 꺾어서 머리에 꽂고 산위 올라앉아서 들 구경만 한다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이-히- 에헤-에 울타리 꺾으면 나온다더니 울떼장5) 꺾어도 아니나 나오네 에-헤 이-히이 에헤- 헤-헤 헤- 헤-헤이여 1)패랭이: 댓개비로 엮어 만든 갓의 일종. 2)기화: 종이로 만든 꽃. 3)해오라기: 백로(白鷺). 4)약유팔(若流波)세: 흐르는 물과 같다. 5)울떼장: 울타리를 묶어 놓는 두꺼운 나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