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둑가래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의 논둑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광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광순 |
지역개관 | 결성면(結城面)은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으로 면소재지가 읍내리이다. 금리천이 면의 중앙을 남동류하여 황해로 빠져 흐르는데, 하천유역에는 충적지가, 면의 북부에는 간척지 평야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신금성을 중심으로 농사와 농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판소리의 전승지로 영조때의 명창 최선달(崔先達)과 한말의 김창용(金昌龍)명인 등이 대를 이어 내려 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8일에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서 채집한 논둑가래질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광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한창 농사철에 물이 불어 논둑이 터지면 농부들에게는 어지간히 큰 일이 아닐 수 없다. 동네 사람들이 일심단결하여 터진 논둑을 새로 쌓으며 부르는 소리이다. |
가사 | 어낭천 가래
어낭천 가래호 천지 조화로 무너진 뚝을 어낭천 가래호 몸부름친다고 소용 있나 어낭천 가래호 한탄을 마소 긴심을1) 마소 어낭천 가래호 오늘 해전에2) 완공을 할거니3) 어낭천 가래호 어서 빨리 술 가져오시오 어낭천 가래호 술동이 위에다 전자리포4) 덮었네 어낭천 가래호 이 뚝도 막고 저 뚝도 막세 어낭천 가래호 말 잘하는 소진장이5) 어낭천 가래호 육국6) 천하를 달랬건만 어낭천 가래호 소내기 구름을 왜 못 달랬나 어낭천 가래호 여보소 농군들 근력을 밀여서 어낭천 가래호 웬수같은 소낙빌세 어낭천 가래호 잘도 헌다 잘도 허여 어낭천 가래호 우리 농군들 잘도 헌다 어낭천 가래호 어서 막고 집이 가세 어낭천 가래호 엉차 영차 엉차 영차 걸려 영차 밀어서 영차 빨리 영차 막세 영차 이쪽 영차 저쪽 영차 걸려 영차 매여 영차 빨리 영차 막세 영차 잘도 영차 헌다 영차 잘도 영차 허여 영차 (“다 막었네--”) 1)긴심: 근심. 2)해전에: 해지기 전에. 3)완공을 할거니: 논둑 공사를 마칠테니. 4)전자리: 바닷고기 이름. 술안주로 먹음. 5)소진장이: 소진(蘇秦)과 장의(張儀). 중국 전국시대의 책사로 말 잘하는 사람으로 꼽힘. 6)육국(六國):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齊,楚,燕,韓,魏,趙의 여섯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