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지게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땔나무마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의 지게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광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최광순 |
지역개관 | 결성면(結城面)은 군의 서부에 위치한 면으로 면소재지가 읍내리이다. 금리천이 면의 중앙을 남동류하여 황해로 빠져 흐르는데, 하천유역에는 충적지가, 면의 북부에는 간척지 평야가 조성되어 있다. 특히 신금성을 중심으로 농사와 농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판소리의 전승지로 영조때의 명창 최선달(崔先達)과 한말의 김창용(金昌龍)명인 등이 대를 이어 내려 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8일에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서 채집한 지게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최광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지게 두개의 윗쪽을 서로 끼워 연결하고 지게 매는 끈에 작대기를 넣어 매고 가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상여소리를 흥겹게 부르며 노는 놀이적인 성격이 강한 노래이다. |
가사 |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저 고개를 넘어가면 또 한 고개가 들어온다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짚은 물이 다리 놓아 월천공덕을1) 허였느냐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배고픈 사람 밥을 주어 인간 구제 허였느냐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목마른 사람 물을 주어 급헌 구제2) 허였느냐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헐벗은 사람 옷을 주어 걸인 구제 허였느냐 에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병들은 약을 주어 착헌 일을 하였느냐 에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보고 지고 임의 얼굴 듣고시버 임의 소래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묘한 태도 맑은 소래 눈에 암암3) 귀에 쟁쟁 에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어서 가세 빨리 가 오늘 가면 그만이여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이산 넘으면 또 산이냐 저 넘어가면 산이지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이 진다고 설워마라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가자 가장 어서 가 오늘 가면 그만이여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인제 가면 원제 올라 올 날짜낭 아려주오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이팔 청춘 소년들아 백발 보구성 웃지마라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가자 가자 빨리 가 오날가면 고만이여 헤헤헤헤야 어허 넘차 넘어간다 (“자 농군들 그만 놀고 일들 하세”) 어---- 1)월천공덕(越川功德): 개울을 건너게 해준 착한 일. 2)급헌 구제: 급수공덕(給水功德)을 잘못 부른 듯. 급수공덕은 목마른 이에게 물을 주는 일. 3)암암: 잊혀지지 않고 가물가물 보이는 듯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