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논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남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홍성군 흥북면 석택리 택리의 논매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남도편은 CD 12장, 232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세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세원 |
지역개관 | 택리마을은 용봉산의 줄기가 뻗어 내려진 구릉지마을이다. 직절이라고도 부른다. 이 마을의 앞 들에서 바라보면 멀지 않은 곳에 용봉산에서 뻗어 내려온 줄기에 용산리(용갈미)가 있고 그 끝자락에 갈미봉이 있으며, 안터골․큰말․아랫말 등의 마을로 되어 있다. 5,6년 전까지만 하여도 백중날이라 하여 풍물과 함께 크게 놀았으나 현재는 하지 않고 다만 음력 7월 7일날 경로잔치 형식의 마을 축제가 있다. 56가구가 살며 벼농사와 딸기를 많이 심고 가축은 한우를 많이 키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3일에 충청남도 홍성군 흥북면 석택리 택리에서 채집한 논매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세원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보통 아시,두벌,만물 세 번 김매기를 한다. 아시,두벌은 호미로 매며 얼카덩어리를 한다. 만물소리는 <산타령>과 <밀양조>가 있는 데 주로 <밀양조>를 많이 부른다. |
가사 | 에-헤에헤 어어허호-이야
오 혀 오호리 에-야호-호 허--허어-허허허허야- 어야-덩어리 헤-야 호-오 천석사시 춘작수나1) 하였건마는 농사밖에도 또 따로 있나 허-- 허어- 허허허 허야- 어야- 덩어리 헤-야 호-오 천안 삼거리 능수야 버들은 다 제 멋이에 지쳐서 척 늘어졌네 허-- 허어- 허허허 허야- 어야- 덩어리 헤-야 호-오 갈 길이 멀다고 타꾸시를2) 탔는데 건방진 운전수가 가시말3) 하네 허-- 허어- 허허허 허야- 허야- 덩어리 헤-야 호-오 논매는 소리를 정말로지 잘 합니다 이렇게 잘 할 줄은 나는 다 몰랐소 허-- 허어- 허허허 허야- 허야- 덩어리 헤-야 호-오 월력 강산에4) 자취 없는 달은 바다 밑으로 갈까 말까 허-- 허어- 허허허 허야- 허야- 덩어리 헤-야 호-오 우리가 살며는 수백년을 사나 요렇기 흥미시럽게 요렇기도 잘하네 허-- 허어- 허허허 허야- 허야- 덩어리 헤-야 호-오 1)천석사시 춘작수 2)타꾸시: 택시(일본말). 3)가시말: 가시 돋힌 말. 4)월력강산: 월락강상(月落江上)일듯. 즉 달이 강 위로 떨어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