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괴산군 증평읍 남하리 염실의 모심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주일종, 주재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주일종, 뒤/주재후 외 |
지역개관 | 남하리는 염실과 솔모루, 둔디기의 자연부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곳 남하3리는 염실이다. 마을에는 전씨가 제일 먼저 들어왔고, 그 다음에 초계 주씨가 들어와서 집성촌을 이루었다. 지금은 가구수 60호에 200여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타성은 3가구 뿐이다. 마을 주민의 생업은 농업이고, 주요 소득원은 담배와 고추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3월 4일에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읍 남하리 염실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주일종, 주재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일꾼이 많으면 앞소리꾼이 본격적으로 북을 치면서 소리만 메기고, 몇 명이 모여서 모를 심을 때는 일꾼들이 서로 돌아가며 앞소리를 메기기도 했다고 한다. 곡조는 강원도 지역의 아라리(아리랑) 계통이다. |
가사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아리랑 고개고개루 날 넹겨주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 나를 넘겨주소 여기에 저기다 꼽더라 해도 방이나 고르게1) 꽂아를 주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루만 나를 넘겨주소 여기야 저기다 꼽더래 해도 장잎이 훨훨 영화가 되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오 여기나 저기나 꼽더라 해도 삼배출2) 자리로만 꽂아를 주게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신농씨에 본을 받어 농사짓기를 일삼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오 아리랑 고개는 열두나고개 넘어 갈 적에 넘어 올 적엔 한 고개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세월아 봄철아 오고가지 말게 청춘남녀가 다 늙는 줄을 왜 모르나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천지운기로 비가 오랴면 땅이 녹는 법이요 임자당신이 오시랴는지 내 맘이 감동된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게 이 논자리에 모를 심어 삼배출자리로만 심어를 주세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1)방고르게 : 가지런히. 2)삼배출 : 보통 수확량의 세 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