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괴산군 문광면 문법리 원줄기의 논매는소리-방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광영, 이정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광영, 뒤/이정우 외 |
지역개관 | 문광면은 글 읽는 소리가 많이 난다고 문광이라 했고, 이 곳 문법리는 원줄기, 전법, 원토, 노루내미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 곳 원줄기는 옛부터 여러 마을이 모여서 풍물을 치며 놀던 곳이라 낙촌이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4일에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리 원줄기에서 채집한 방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광영, 이정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호미로 초벌 논맬 때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에에히이 에에라아 방아호 오오오
에에히이 에에라아 방아호 오오오 천지지간1) 만물 중에 사람밖이 또 있는가 에에히이 에에라아 방아호 오오오 우리농부 교민화식을 다 한 후에 밤이 오면 잠깐 쉬고 낮이 되면 일이로다 에에히이 에에라아 방아호 오오오 신농씨가 밭을 갈고 후진에다 뿌린 종자 누릇누릇 황금이 되네 에에히이 에에라아 방아호 오오오 이후후후 에여라 방아호 에여라 방아호 이 방아가 뉘 방안가 에여라 방아호 경신년 경신월에 에여라 방아호 강태공에도 조작방아2) 에여라 방아호 강태공은 간 곳이 없고 에여라 방아호 빈 방아만 걸려 있네 에여라 방아호 여보시오 농부님네 에여라 방아호 춘하추동 사시절에 에여라 방아호 천진잎이 쏙나오면 에여라 방아호 춘분시절이 돌아오네 에여라 방아호 신농씨가 갈은 밭에 에여라 방아호 후진에다 뿌린 종자 에여라 방아호 호미를 들고서 지심 매여 에여라 방아호 구시월이 돌아오면 에여라 방아호 누릇누릇에 황금출 되네 에여라 방아호 우리야 농부들 거동보소 에여라 방아호 번개같은 낫을 들고 에여라 방아호 논밭전지 나가서로 에여라 방아호 투덕툭턱 베를 비어 에여라 방아호 노적가리두 쌓아 놓고 에여라 방아호 쿵쿵 찧는 물방아에 에여라 방아호 실코씰어 또 씰어서3) 에여라 방아호 양친부모를 공경하고 에여라 방아호 나라에는 군량미하세 에여라 방아호 어어 호호오 1) 천지지간(天地之間). 2)조작방아 : 예전부터 디딜방아에는庚申年 庚申月 庚申日 庚申時 姜太公 造 作이라는 글자를 새겨넣는 풍습이 있었다고 가창자는 말한다. 3)실코씰어 또 씰어서 : 방아를 찧는다는 의미로 껍질을 벗겨내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