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무덤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분묘조성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괴산군 문광면 문법리 원줄기의 무덤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광영, 이정우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광영, 뒤/이정우 외 |
지역개관 | 문광면은 글 읽는 소리가 많이 난다고 문광이라 했고, 이 곳 문법리는 원줄기, 전법, 원토, 노루내미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 곳 원줄기는 옛부터 여러 마을이 모여서 풍물을 치며 놀던 곳이라 낙촌이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4일에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리 원줄기에서 채집한 무덤다지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광영, 이정우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하관 후 흙에 석회를 섞어 넣고 다지면서 하는 소리이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석회를 다지는 것은회다지라 하고 흙을 다지는 것은달구질이라 하여 구분하기도 하나 이 지역에서는 석회를 흙과 섞어서 넣고 다지지만 명칭은 달구질이라 한다. |
가사 | 에헤 달기호
에헤 달구 에헤 달기호 에헤 달구 달기소리 세 마디면 에헤 달구 연춧대1) 소리도 맞춰 가며 에헤 달구 구성지게도 불러보세 에헤 달구 천지지간은2) 만물 중에 에헤 달구 사람밖에도 또 있는가 에헤 달구 산지조종은 곤륜산이요 에헤 달구 수지조종은 황해수라 에헤 달구 사람이 한번 태어나서 에헤 달구 칠성님께두3) 명을 빌고 에헤 달구 제석님께두4) 복을 빌어 에헤 달구 십삭만에5) 탄생 되면 에헤 달구 한두살에는 철을 몰라 에헤 달구 부모은공도 못 다 갚고 에헤 달구 인간 칠십 고래희라6) 에헤 달구 황천무덤을 가고 보면 에헤 달구 산천명기를7) 안 찾을까 에헤 달구 (음반에는 여기까지 수록함) 산지조종은 곤륜산이요 에헤 달구 수지조종은 황해순데 에헤 달구 곤륜산 낙막이 줄줄 흘러 에헤 달구 백두산으로 기봉일세 에헤 달구 백두산 낙막이 줄줄 흘러 에헤 달구 묘향산으로 기봉되니 에헤 달구 의주 압록강 얼른 건너 에헤 달구 평안도로 뻗어내려 에헤 달구 평양마루 마른땅에 에헤 달구 무주 통군전 마련이라 에헤 달구 묘향산 낙막이 줄줄 흘러 에헤 달구 모란봉도 기봉이 되고 에헤 달구 대동강이 조수가 되니 에헤 달구 기자 천년은 단군천년 에헤 달구 평양 도읍이 이 아닌가 에헤 달구 묘향산 낙막이 흘러내려 에헤 달구 황해도로 뻗어내려 에헤 달구 구월산이 기봉이 되고 에헤 달구 백령도 섬은 주수가 되어 에헤 달구 심청이 죽은 무덤일세 에헤 달구 황해도로 접어들어 에헤 달구 구월산 낙막이 흘러내려 에헤 달구 경기도로 나려와서 에헤 달구 무학산이 기봉이 되고 에헤 달구 삼각산도 기봉인데 에헤 달구 남산 웃산은 청룡이 되고 에헤 달구 한강수는 조수가 되니 에헤 달구 왕십리는 백호되어 에헤 달구 대궐터를 지을 적에 에헤 달구 어느 명관이 잡았던가 에헤 달구 무학 선생이 잡었는가 에헤 달구 화산이 박산이 다 모여서 에헤 달구 대궐짓고 황후모셔 에헤 달구 기왕이면 창덕궁 지어 에헤 달구 계계승승부 하올적에 에헤 달구 이씨 조선은 오백년인데 에헤 달구 글로두고 볼지래도 에헤 달구 산천명기를 안찾을까 에헤 달구 1)연춧대 : 상여 채 밑에 가로 대는 나무막대. 회다지를 할 때 들고 다진다. 2)천지지간(天地之間). 3)칠성(七星). 4)제석(帝釋). 5)십삭(十朔) → 열달을 말한다. 6)고래희(古來稀). 7)산천명기(山川名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