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메밀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괴산군 문광면 문법리 원줄기의 메밀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상규 |
지역개관 | 문광면은 글 읽는 소리가 많이 난다고 문광이라 했고, 이 곳 문법리는 원줄기, 전법, 원토, 노루내미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 곳 원줄기는 옛부터 여러 마을이 모여서 풍물을 치며 놀던 곳이라 낙촌이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4일에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리 원줄기에서 채집한 메밀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상규가 참여하였다. |
가사 | 이 산 저 산 두허링이산에1)
메물씨2) 한 되를 뿌려 놓고 사흘만에 가서 보니 잎새는 동동 칡잎이요 열매 동동 까막열매 대공은3) 동동 붉은대요 어린 총각 앞을 세우고 깔뜨랑낫을4) 옆에 찌고 밭머리를 썩들어시니 한 단은 비어 뉘어 놓고 두 단 비어 세워 놓고 만장겉은 너른 마당 높드랗게 쭉펴다 놓고 도리깨로다 장단치고 싸리비루 순찰 돌어5) 폭포겉이 흘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다 널었다가 맷돌에다 순찰 돌어 방아에다 번개를 치고 안반에다 분을 발러 홍두깨에다 옷을 입혀6) 경상도 놋디야칼로 요모나 조모 쓸어다가 하늘에서는 번개를 치고 땅에서는 용솟음 치는 메물국수랍니다 1)두허링이산 : 양쪽 산의 중간부분. 2)메물씨 → 메밀씨. 3)대공 → 줄기. 4)깔뜨랑낫 : 오래 되어 잘 안드는 작은 낫. 5)싸리비루 순찰 돌아 : 도리깨질을 할 때 한 사람이 가장자리를 돌며 싸리비로 껍질을 쓸어내는 것을 비유한 것. 6)홍두깨에다 옷을 입혀 : 손으로 칼국수를 미는 모습을 묘사한 것. 두껍고 넓은 나무판(안반)에 홍두깨로 국수를 밀 때 메밀 반죽에 수시로 가루를 바르고 그 반죽을 홍두깨에 다시 감아서 돌려가며 미는데 이것을 분 바르고 옷 입히는 것으로 표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