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징거미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괴산군 문광면 문법리 원줄기의 징거미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상규 |
지역개관 | 문광면은 글 읽는 소리가 많이 난다고 문광이라 했고, 이 곳 문법리는 원줄기, 전법, 원토, 노루내미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 곳 원줄기는 옛부터 여러 마을이 모여서 풍물을 치며 놀던 곳이라 낙촌이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4일에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문법리 원줄기에서 채집한 징거미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상규가 참여하였다. |
가사 | 엇다 여봐라 징검아1)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머리는 비어다 월사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마빡은2) 비어다 망건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눈썹은 비어다 붓끝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눈은 비어다 왕방울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코는 띠어다 데코리전에다3)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입은 띠어다 소쿠리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이는 띠어다 박씨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귓구녁 띠어다 나무깨전에다4)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목아지 떼어다 장군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목아지 떼어다 행검전에다5)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팔은 떼어다 깔키전에다6)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좆은 떼어다 항아리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배는 띠어다 북통전에다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엇다 여봐라 징검아 엇다 여봐라 징검아 이내 다리는 띠어다 장치전에다7) 팔어두 다문 닷돈은 받을테지 네 돈 석냥은 내 갚으마 걱정을 말고 지내라 1)징검이 : 징거미새우. 민물에 사는 새우. 2)마빡 : 이마. 3)데코리 : 꼬끼리. 4)나무깨 : 나막신. 5) 행검 →행금 : 사람이름으로 노래를 잘 한다고도 하고 북을 잘 친다고도 함. 6)깔키 → 갈퀴. 7)장치 → 장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