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단양군 영춘면 별방리 별왕골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천인봉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천인봉 |
지역개관 |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별방리 별왕골은 본래 차의곡면의 지역으로 별왕골, 별방골이라고 했는데 차의곡면이 폐지되면서 영춘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부락은 각골, 거리말, 귓말, 원별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산은 마을 서쪽으로 산태봉과, 동쪽으로 월출봉이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논이 있는 들은 원별방에 양짓들과 음짓들, 지와들이 있고 인접해 있는 강원도 영월군 남면과의 사이에 있는 고개가 큰재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22일에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별방리 별왕골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천인봉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요 총각 조 총각 치매꼬리 놓게
친정 부모가 당사실로1) 박은 치매가 총각이 붙들어 콩 뛰듯 합니당 아야2) 꽃본 나부야 물본 기러기 탐화나 봉접을3) 나부가 꽃을 보구선 어떻게 그냥 가겠소 만첩 산중에 참매미란 놈은 말거무줄이나4) 원수요 우루집에5) 원수 걸목은 본남아가 원수라 아야 허공중천에 높이 뜬 것은 밤보래나매요6) 우체국에 말 많은 편지는 정든님 엽선가 아야 저근네 저 산이 천하명산 아니요 구시월 시단풍에도 진달래 꽃이 핍니다 저근네 주막아주머니 밑을 들구 보세요 초하루 보름만 지내 가면은 사구라꽃이 핍니다 1)당사(唐沙)실 : 중국에서 나는 명주실. 2)아야 : 노래를 다 부르고 끝에 붙이는 소리로 후렴은 아니고 기분이 좋으면 부르는 여흥같은 것이다. 3)탐화나 봉접(探化蜂蝶) : 꽃을 찾는 벌과 나비. 남자가 여자를 찾는 것을 말함. 4)말거무줄 → 말거미줄. 5)우루 → 우리. 6)밤보래나매 → 밤보라매 : 보라매는 난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새끼를 잡아 길들여 사냥에 쓰는 매를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