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나물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보은군 외속리면 오창리 오심의 나물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점례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점례 |
지역개관 | 충청남도 보은군 외속리면 오창리 오심의 자연부락 이름인 오심은 마을 앞산의 봉오리가 다섯개여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경주 김씨가 들어와서 배판했고 다음에 충주 박씨가 들어 왔으며 이 두 성을 중심으로 타성이 몇 호 있다. 현재 마을의 가구수는 23-4호이고 모두 농업에 종사하는데 주요 농작물이 벼와 고추, 참깨이며 특수작물로 수박을 하는 가구가 2가구이다. 동제는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5일에 충청북도 보은군 외속리면 오창리 오심에서 채집한 나물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점례가 참여하였다. 대부분의 나물노래가 단순하게 나물이름을 나열하는 것에 비해 이 노래는 나물을 뜯어서 쓰임새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노랫말에 나오는오콤조콤,설렁설렁,살라쿵살라쿵,오물조물,요뭉치조뭉치 등의 짓시늉말이 돋보이는 노래이다. |
가사 | 행주치마 둘러 입고
뒷동산에 올라가서 개감추1) 미역추 너 얼매나 잘났걸래 우리네 손질에 놀아 나나 오콤조콤 뜯어 가주 안치매를2) 담아 가주 집에라구나 돌아와서 설렁설렁에 추려 가주 벌어졌다 벌가매에3) 설설 끓는 물에다가 두적뒤적도 해가주구 살라쿵 살라쿵 힝궈 가주 동동 뜨는 참지름에 오물조물에 무쳐 가주 네모번듯 두레상에4) 은저붐을5) 맞춰 놓고 소담하게두 담아 놓고 노인네는 참진미라6) 젊으신네는 감식이라7) 뒷동산에 올라가서 멍구럭대래키8) 둘러 차고 고사리를 꺾어 가주 줌짐이두9) 꺾어 가주 요놈의 고사리 가져 와서 설렁설렁에 추려 가주 벌어졌다 벌가매에 휘휘 둘러 건져 가주 태양에다 말려 놓구 요뭉치 조뭉치 해가주구 용상에다10) 모셔났다 낭군님 지사가11) 돌아왔네 달갈같은 동솥에다12) 되작되작두 삶아가주 낭군님 지사를 차려 놓고 왼갖 잔채를13) 차려 놓고 왼갖 과일을 차려 놓고 조상님께 축원하길 비나니다 비나니다 오늘 저녁에 오신 조상 많이나 잡숫고 응감하구 우리야 낭군이 오셨거당 자손에 명복두 빌어주구 자손에 금전두 풀어줘요 오늘 저녁 오셨거든 많이 많이나 잡수시고 극락으로 잘 가시오 1)개감추:나물이름. 2)안치매→앞치마. 3)벌가매:아가리가 벌어진 큰 가마솥. 4)두레상:여러사람이 둘러 앉아 먹는 상을 말하는 듯. 5)은저붐→은젓가락. 6)참진미:맛난 음식을 말하는 듯. 7)감식(甘食):음식을 맛있게 먹는 것. 8)멍구럭대리키:싸리나무로 만든 큰 다래끼. 9)줌짐이두→줌줌이도. 10)용상:높은 곳에 있는 선반 비슷한 것. 11)지사→제사. 12)동솥:작은 솥. 13)잔채:잘게 썬 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