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찌는소리+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매곡면 유전리 늘왓의 모찌는소리 ·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12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충청북도 > 영동군 |
생산지역 상세 | 매곡면 유전리 늘왓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2 , 모찌는소리·모심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충청북도 , 충북 , 영동군 , 1993 , 1995 , 모찌는소리+모심는소리 , 남열우 , 이종태 , 유외순 , 교환창 , |
실연자 | 남열우, 이종태, 유외순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남열우, 나/이종태, 다/유외순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유전리 늘왓의 자연부락 이름은 늘왓이며 안동 권씨가 처음으로 들어와서 배판했으나 지금은 다 떠나고 각성바지가 모여 산다. 마을 앞으로 4Km 떨어진 곳에 천덕산이 있고, 개방령을 경계로 경북 금릉군 봉산면과 인접해 있다. 60여 가구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주요 소득원은 포도하고 수박이다.150여년 묵은 큰 느티나무(정자나무) 아래에서 동제를 지냈으나 6.25이후 부터는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6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매곡면 유전리 늘왓에서 채집한 모찌는소리+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남열우, 이종태, 유외순이 참여하였다. 곡조, 사설, 가창방식 모두 경상도 지역의 정자소리 계통이다. |
가사 | 다:석상에다 모를 부어 모쪄내기 난감일세
나:석상에다 상추 심어 상추 솎기 난감일세 다:이워내세 이워내세 이 모판을 이워내세 가:담송담송 닷마지기 반달같이 깃들었네 나:네가 무슨 반달인가 초생달이 반달이지 가:물꼬야 청청 흐러놓고 주인의 양반 어델 갔소 나:문어전복 손에 쥐고 첩의 집에 놀러 갔소 가:지여 가네 늦어 가네 점슴때가 늦어 가요 나:찹쌀 닷 말 멥쌀 닷 말 씻어서 짓느라고 늦어 가네 다:서울이라 유다락에1) 금비둘기 알을 났네 나:만져 보고 쥐어 보고 못가젼기 내 한일세 다:서울이라 넝피없어2) 금봉채로3) 다리 놨네 나:헤여 보고 건너봐도 못 갖는 기 내 한일세 가:해 다지고 저문날에 인물행상4) 떠나오네 다:이태백에 본처 죽은 인물행상 떠나오네 1)유다락`→`누다락`:`다락집의 윗층. 2)넝피`→` 나무. 3)금봉채`:`금으로 봉황을 새겨서 만든 비녀. 시집갈 때 여자들이 꽂던 비녀이다. 4)인물행상`:`젊은 사람이 죽어 꽃상여로 꾸민 행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