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찌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의 모찌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남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서남순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는 황간면 소재지로서 200여년전만해도 마을이 없었는데 큰 홍수가 나고 새로운 들이 생겨서 신평이라고 한다. 중부고속도로가 지나면서 마을이 커지고 지금은 아파트가 들어서고 관공서가 밀집되어 있으며 가구수 240호 인구수 800여명이다.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나 회사원도 많다. 들은 마을 뒷쪽으로 펼쳐져 있다. 충주 박씨가 1592년에 매곡에서 이 곳으로 옮겨와 다래나무를 제거하고 움막을 짓고 산 것이 마을이 생긴 유래라고 한다. 자연부락 이름은 소내이다. 마을을 지켜주는 수령 500년 가량 된 큰 나무 두 그루와 남, 서, 북 세 방향으로 삼각을 이루어 서 있는 세 개의 선돌 안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상이라 하여 소내라 부르게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8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에서 채집한 모찌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남순이 참여하였다. 두 사람이 번갈아 부르기도 하고 한 사람이 계속 부르기도 한다. 모는 오전 10시경에 찌는데 일꾼은 10~30명 정도이다. 경상도 모정자소리 계통이다. |
가사 | 들어내세 들어내세 요 모판을 들어내세
이승채사 이명선이1) 요 모판을 꼭 잡아가소 이호호호 둘러싸세 둘러싸세 요 모판을 둘러싸세 요 모판만 쌈일런가 상추쌈도 쌈일러라 상추쌈만 쌈일런가 적쌈도2) 쌈일러라 이호호 1)이명선:이승차사는 이명선이고 저승차사는 강림도령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의미는 모른다고 한다. 모찌기가 벅차니까 모판을 잡아가라고 하는 말. 2)적쌈→적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