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모심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의 모심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남순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서남순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는 황간면 소재지로서 200여년전만해도 마을이 없었는데 큰 홍수가 나고 새로운 들이 생겨서 신평이라고 한다. 중부고속도로가 지나면서 마을이 커지고 지금은 아파트가 들어서고 관공서가 밀집되어 있으며 가구수 240호 인구수 800여명이다.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나 회사원도 많다. 들은 마을 뒷쪽으로 펼쳐져 있다. 충주 박씨가 1592년에 매곡에서 이 곳으로 옮겨와 다래나무를 제거하고 움막을 짓고 산 것이 마을이 생긴 유래라고 한다. 자연부락 이름은 소내이다. 마을을 지켜주는 수령 500년 가량 된 큰 나무 두 그루와 남, 서, 북 세 방향으로 삼각을 이루어 서 있는 세 개의 선돌 안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상이라 하여 소내라 부르게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8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에서 채집한 모심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남순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소리의 짝을 맞춰 부르는 전형적인 경상도 모정자소리 계통이다. 가창자들은 모심는 소리를모노래라 한다. 제창으로 불렀다. |
가사 | 계룡진산1) 얽은독에2) 쌀로 섞은 강화주야3)
꽃을 넣은 요로잔에4) 나부한쌍 권주하네5) 이후후후 서울이라 낭기6) 없어 금봉채로7) 다리를 놨네 그 다리를 건널라니 쿨컹철썩 소리가 나네 이후후후 서울에라 유다락에 금비둘기 알을 났네 쥐어 보고 만져 보고 못 가젼 기 내 한이라 이후후후 계룡진산 송낙숲에8) 슬피우는 두견새야 어린 동생 옆에 찌고 날과 같이 슬피우네 이후후후 동해야 동창 돋은 해는 일락서산 걸앉았네 이후후 지는 핼랑 거기 두고 내일 해로 다시 보세 이호호 방실방실 웃는 임을 못 다 보고 해가 지네 지는 해는 거게 두고 돋는 해를 다시 보세 이호호 모야 모야 노랑모야 언제 커서 열매 열래 이 달 크고 저 달 크고 저 훗달에 열매 열지 이호호 연줄 떴네 연줄 떴네 해 달속에 연줄 떴네 그 연줄을 잡고 보면 우리님을 보련마는 해 다 지고 저문날에 골골마다 연기 나네 우리님은 어데 가고 저녁할 줄 모르시나 이후후후 1)계룡진산 → 계룡산. 2)얽은독 : 겉이 매끄럽지 못한 독을 말한다. 3)강화주 : 동동주의 한 종류. 4)요로잔 → 유리잔. 5)권주 : 쌀이 동동 뜨는 모습을 비유한 것. 6)낭기 → 나무. 7)금봉채 : 금으로 봉황을 새겨서 만든 비녀. 시집갈 때 여자들이 꽂던 비녀. 8)송낙숲 → 소나무 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