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절허고 저로한다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의 논매는소리-절허고 저로한다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돈묵, 이승봉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돈묵, 뒤/이승봉 외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는 황간면 소재지로서 200여년전만해도 마을이 없었는데 큰 홍수가 나고 새로운 들이 생겨서 신평이라고 한다. 중부고속도로가 지나면서 마을이 커지고 지금은 아파트가 들어서고 관공서가 밀집되어 있으며 가구수 240호 인구수 800여명이다.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나 회사원도 많다. 들은 마을 뒷쪽으로 펼쳐져 있다. 충주 박씨가 1592년에 매곡에서 이 곳으로 옮겨와 다래나무를 제거하고 움막을 짓고 산 것이 마을이 생긴 유래라고 한다. 자연부락 이름은 소내이다. 마을을 지켜주는 수령 500년 가량 된 큰 나무 두 그루와 남, 서, 북 세 방향으로 삼각을 이루어 서 있는 세 개의 선돌 안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상이라 하여 소내라 부르게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8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 우천리에서 채집한 절허고 저로한다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돈묵, 이승봉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논배미를 마무리하면서(쌈을 싸면서) 소리가 빨라진다. |
가사 | 저로하고도 저로한다
절허고 저로한다 아 오늘날에는 여게서 놀고 절허고 저로한다 아 내일날은 어데 가 놀거냐 절허고 저로한다 저로하고 저로하네 절허고 저로한다 아 해 다 지구서 저무신 날에야 절허고 저로한다 아 옷갓을 쓰구서 어데를 갈거냐 절허고 저로한다 아 첩으야 방을 가실라면 절허고 저로한다 아 첩으 방아야 가실라면 절허고 저로한다 아 나 죽는 꼴을 보구나 가오서 절허고 저로한다 아 첩으야 방은 꽃밭이요 절허고 저로한다 아 이내나 방은야 연못이라 절허고 저로한다 아 연못 안에나 금붕에는 절허고 저로한다 아 사시춘풍에 놀구나 있네야 절허고 저로한다 아 절하구도 저로한다 절허고 저로한다 아 간밤에야 꿈이나 좋더니 절허고 저로한다 아 임으호게서1) 편지가 왔소 절허고 저로한다 아 편지야 왔다마는야 절허고 저로한다 아 어이 임은야 못오시느냐 절허고 저로한다 아 동자야 먹 갈어라 절허고 저로한다 아 임으호게다 답장을 하자 절허고 저로한다 절하고도 저로하네 절허고 저로한다 이 논배밀 논을 매세 절허고 저로한다 여게 훔쳐 저게 훔쳐 절허고 저로한다 깨끗하게나 훔쳐나 주세 절허고 저로한다 엉딩일랑 낮추고 절허고 저로한다 양손을랑 부지런히 놀려라 절허고 저로한다 절허고도 저로한다 절허고 저로한다 휘휘나 내둘러라 절허고 저로한다 손가락을랑 갈퀴 손으로 절허고 저로한다 벅벅만 긁어나 댕겨서 절허고 저로한다 휘휘 내둘러라 절허고 저로한다 절허구두 저로하네 절허고 저로한다 이 논배미 쌈을 싸세 절허고 저로한다 이 논배미나 쌈을 싸세 절허고 저로한다 논배미에 쌈을 다 쌌으면 절허고 저로한다 딴 논배미로 들어나 가세 절허고 저로한다 엉딩일랑은 낮추고 절허고 저로한다 손가락일랑 갈쿠리 손가루로2) 절허고 저로한다 휘휘나 져서나 보세 절허고 저로한다 절허고 저로한다. 절허고 저로한다 1)임으호게서 → 임에게서. 2)손가루로 → 손가락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