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황아장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의 황아장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남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서남순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는 황간면 소재지로서 200여년전만해도 마을이 없었는데 큰 홍수가 나고 새로운 들이 생겨서 신평이라고 한다. 중부고속도로가 지나면서 마을이 커지고 지금은 아파트가 들어서고 관공서가 밀집되어 있으며 가구수 240호 인구수 800여명이다.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나 회사원도 많다. 들은 마을 뒷쪽으로 펼쳐져 있다. 충주 박씨가 1592년에 매곡에서 이 곳으로 옮겨와 다래나무를 제거하고 움막을 짓고 산 것이 마을이 생긴 유래라고 한다. 자연부락 이름은 소내이다. 마을을 지켜주는 수령 500년 가량 된 큰 나무 두 그루와 남, 서, 북 세 방향으로 삼각을 이루어 서 있는 세 개의 선돌 안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상이라 하여 소내라 부르게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8월 9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에서 채집한 황아장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남순이 참여하였다. 전라도 지역의 거미타령과 곡조가 같다. |
가사 | 장사야 장사야 황애장사1)
기 걸머젼 것이 게 뭣인가 아 옹골에 동골에 소동패2) 바리찌상에3) 머리댕기 장사야 장사야 황애장사 기 걸머젼 것이 게 뭣인가 아 옹골에 동골에 소동패 바리찌상에 머리댕기 1)황애장사 → 황아장수 : 온갖 자질구레한 물건을 가지고 집집마다 찾아 다니며 파는 사람. 2)소동패 : 뜻모름. 3) 바리찌상에 : 뜻모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