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댕기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사물소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의 댕기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남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서남순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는 황간면 소재지로서 200여년전만해도 마을이 없었는데 큰 홍수가 나고 새로운 들이 생겨서 신평이라고 한다. 중부고속도로가 지나면서 마을이 커지고 지금은 아파트가 들어서고 관공서가 밀집되어 있으며 가구수 240호 인구수 800여명이다. 대부분의 주민이 농업과 상업에 종사하나 회사원도 많다. 들은 마을 뒷쪽으로 펼쳐져 있다. 충주 박씨가 1592년에 매곡에서 이 곳으로 옮겨와 다래나무를 제거하고 움막을 짓고 산 것이 마을이 생긴 유래라고 한다. 자연부락 이름은 소내이다. 마을을 지켜주는 수령 500년 가량 된 큰 나무 두 그루와 남, 서, 북 세 방향으로 삼각을 이루어 서 있는 세 개의 선돌 안 지형이 소가 누워있는 형상이라 하여 소내라 부르게 되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8월 9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신평리에서 채집한 댕기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남순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울 아버지 떠온 댕기
우리 어머이 받은 댕기 우리 오빠 용심1) 댕기 우리 올키2) 심술 댕기 삼단겉은 이내 머리 반달겉은 얼개빗을 어리설설 곱게 빗어 천방겉이 늦기 따서 준주머리 걸싸 댕기 끝만 물려 잡아 매고 담 안에라 널 뛴더니 담 밖에라 빠졌는가 학방안에 도령들아 이내 댕기 줏었거든 내 말 없이 나를 도가3) 줏었기야 줏었지만 니 말 없이 못 주겠다 동솥 걸고 밥솥 걸고 살림살 때 너를 주마 돈으로 구들 놓고 분으로 도배하고 연지로 학 그리고 쌍무지개 문끈 달고 은가락지 고리하고 살림살 때 너를 주마 새별같은 별요강은 발찌만침 밀쳐 두고 원앙금침 잣비게는 둘이 빌듯 돋아 놓고 다홍 대자 접이불은 둘이 덮자 만들을 때 그 댕기를 너를 주마 1)용심 : 남을 미워하고 시기하는 마음. 동생의 댕기가 오빠의 시기심을 유발한다는 뜻. 2)올키 → 올케. 3)도가 : 다오. 달라는 소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