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시집살이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의 시집살이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소용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소용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는 성주 이씨와 성산 배씨의 집성촌으로 이시망씨와 배진호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씨와 배씨가 반반씩 살면서 신분을 따져서 서로 전혀 왕래가 없이 살다가 시대가 변하면서 조금씩 교류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전국에서 제일 먼저 자립 마을로 선정되어 최우수 마을이 되면서 정부의 각종 보조가 있었고 최우수 마을로서 선진지 견학마을로 추앙을 받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9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서 채집한 시집살이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소용이 참여하였다. 새며느리가 시댁식구들의 푸대접에 머리깎고 출가한다는 전형적인 시집살이노래이다. |
가사 | 시집 온제 사흘만에
밭을 매러 가라하네 은가락지 찌던 손에 호멩이 자루 웬일인가 지름머리 하던 머리 똥펀지기1) 웬일이냐 똥편지기 머리 이고 호멩이 자루 손에 들고 밭을 매러 가서 보니 사래 질고 광 너른 밭2) 목메겉이 지섰구나3) 한 골 매고 두 골 매고 삼세 골을 매고 나니 즘심참이 지였구나 집이라고 돌아 와서 대문안에 들어 서니 머슴놈에 거동보소 여보시오 새아씨님 밭을 멘골 매었어요 한 골 매고 두 골 매고 삼세 골을 매었노라 그길싸나 일이라고 점심참을 찾아오요 (안마당)사랑마당 들어서니 시아버님 문지방을 뚜디리민 어제 온 새메늘아 아래 온 새메늘아 밭을 몇골 매었느냐 한 골 매 고 두골 매고 삼세 골을 매었어요 그길싸나 일이라고 점심참을 찾아오나 안마당에 들어서니 꼬치겉은4) 시어머니 마리장을 뚜디리며 어제 온 새메늘아 아래 온 새메늘아 밭을 몇골 매었느냐 한 골 매고 두 골 매고 삼세 골을 매었어요 그길싸나 일이라고 점심참을 찾아오나 정지문5) 앞 들어서니 앵두같은 시누씨가 부지땡이로6) 정지문턱 뚜디리민 어제 온 새올캐야 아래 온 새올캐야 밭을 몇골 매었어요 한골 매고 두골 매고 삼세골을 매었어요 그길싸나 일이라고 점심참을 찾아오요 방이라고 들어가니 밥이라고 주는 거는 삼년묵은 꽁보리밥 딩기장을7) 한숟갈에 밥이라고 주는구나 이 방 저 방 제쳐 놓고 내 방에라 들어가서 시집 올제 해 온 옷을 이리저리 꺼내 놓고 아홉폭 후리치매 내어서 한폭 뜯어 꼬깔 접고 두폭 뜯어 자루 짓고 세폭 뜯어 바랑 짓고 바랑 지고 나갈 적에 아무 식구 내다 볼 사람 없네 사립밖에 나서 가니 서방님에 거동보소 지팡막지 하나 주며 이 지팽이 집고 댕기다 부러지거든 나 죽은 지 알으세요 그 지팽이 받아가주 정처없이 가노라니 한 대사가 돌아오네 여보시오 대사님은 내 머리좀 깎아주소 칼이 없어 못깎겄네 두 모랭이 돌아가니 대사 하나 또 오는데 여보시오 대사님은 이내 머리 깎아주소 그 대사에 거동보소 행장에서 칼을 내서 귀밑을 달라드니 한 귀밑을 깎느라니 어머이 생각 절로 나고 두 귀밑을 깎고 나니 아버지 생각 절로 나네 그 대사를 따라가서 절문 안에 들어스니 어이없는 통곡난다 십년을 그 절에서 지내다가 시집 고향 찾아오니 집이라고 들다 보니 쑥대밭이 되었구나 시어머니 시아버지 뫼를 찾아 가서 보니 묵뫼가8) 되어있고 시누에 뫼에는 강살꽃이9) 피어있고 남편 뫼에 찾아가서 묏두럭에 엎디레서 대성통곡 하다보니 난데없이 천둥하고 소낙비가 쏟아질때 뫼가 떡 갈라질제 묏속에서 신선이 나오더니 그 부인을 둘쳐 업고 하늘로 올라가서 (하늘로 올라가서 선녀가 되고 일월선관이 돼 가지고 그래 잘 살드랴) 1)똥펀지기 : 똥을 담는 그릇. 2)사래 질고 광 너른 밭 : 사래는 이랑의 옛말이고 광은 고랑과 고랑 사이를 말한다. 3)목메같이 지섰구나 : 목메의 뜻은 알 수 없으나 밭에 풀이 많이 난 것을 말한다. 4)꼬치같은 → 고추같은. 5)정지 : 부엌. 6)부지땡이 → 부지깽이. 7)딩기장 : 보리등겨로 만든 장. 8)목 뫼 : 묵은 묘. 손질하지 않고 오래 내버려 둔 묘. 9)강살꽃 : 개살 또는 심술꽃이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