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장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자장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의 자장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소용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소용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는 성주 이씨와 성산 배씨의 집성촌으로 이시망씨와 배진호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씨와 배씨가 반반씩 살면서 신분을 따져서 서로 전혀 왕래가 없이 살다가 시대가 변하면서 조금씩 교류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전국에서 제일 먼저 자립 마을로 선정되어 최우수 마을이 되면서 정부의 각종 보조가 있었고 최우수 마을로서 선진지 견학마을로 추앙을 받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9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서 채집한 자장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소용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자장 자장 워리 자장
우리 애기 잘도 자네 청삽사리1) 잘도 자고 홍삽사리 잘도 자네 우리 아기 잘도 잔다 엄마 품에 푹 앤겨서 싸근 싸근 꿈나라로 우리 아기 잘도 자네 우리 아기 잠든 얼굴 돋아 오는 밝은 달이 곱게 곱게 빈춰주네 자장 자장 우리 아기 엄마 품에 폭 안겨서 잘도 자고 잘도 자네 1)청삽사리 : 털이 푸른 빛이 도는 삽살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