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징기 멩기 갱피뜰에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의 징기 멩기 갱피뜰에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1209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충청북도 > 영동군 |
생산지역 상세 | 용산면 신항리 수리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3 , 징기멩기갱피뜰에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충청북도 , 충북 , 영동군 , 1993 , 1995 , 징기 멩기 갱피뜰에 , 김소용 , 독창 , |
실연자 | 김소용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소용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는 성주 이씨와 성산 배씨의 집성촌으로 이시망씨와 배진호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씨와 배씨가 반반씩 살면서 신분을 따져서 서로 전혀 왕래가 없이 살다가 시대가 변하면서 조금씩 교류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전국에서 제일 먼저 자립 마을로 선정되어 최우수 마을이 되면서 정부의 각종 보조가 있었고 최우수 마을로서 선진지 견학마을로 추앙을 받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9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서 채집한 징기 멩기 갱피뜰에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소용이 참여하였다. 이 노래는 모심는 소리나 논매는 소리의 사설로도 많이 부르며 배경설화가 함께 전한다. 가난한 집안으로 시집을 간 여인이 글만 읽는 선비를 남편으로 맞아 온갖 고생을 하다가 하루는 마당에 강피를 널어 놓고 들에 일을 하러 나갔는데, 비가 억수같이 쏟아져서 집에 들어오니 강피는 빗물에 둥둥 떠다니는데도 남편은 글만 읽고 있어서 도저히 참지 못하고 집을 나갔다. 그런데 그 남편이 과거에 급제하여 경상감사로 내려오는 길에 여전히 강피를 훑고 있는 마누라를 만나게 되지만 남편은 매달리는 마누라를 뿌리치고 만다. 마누라가 울다가 매미가 되었다고 하는 끝부분은 다른 농요의 사설에서는 보이지 않는 부분이다. |
가사 | 징기 멩기1) 갱피뜰에2)
갱피 훑는 저 마느래 그 마느래 팔자 좋아 갱피자루 못면하고 이내 나는 팔자 험해 경상감사 살러가네 갱피 훑던 그 마느래 고개를 버쩍들고 체다보니 하늘같은 갓을 쓰고 구름겉은 말을 타고 번개겉이 가는 모양 본냄편이 아니던가 여보시오 서방님은 나도 같이 가옵시다 나도 같이 가옵시다 말물이나 들어주께 나도 같이 가옵시다 쇠물이나 들어주께 나도 같이 가옵시다 들은체도 본체도 아니하고 번개겉이 달아나네 미루나무 상상봉에 올라가서 여보시오 서방님은 매림정도 하옵니다3) 매옴매옴 울다보니 매미가 됐더래요 1)징기 멩기 → 김제 만경. 2)갱피 → 강피 : 피의 한 종류로 밭이나 습한 곳에서 재배하는데 빛이 붉은색이고 가시랭이가 없다. 흉년에 강피밥이나 강피죽을 많이 먹었다고 한다. 3)매림정도 하옵니다 : 매정도 하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