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촌성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서사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의 시집살이노래-사촌성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소용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소용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는 성주 이씨와 성산 배씨의 집성촌으로 이시망씨와 배진호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씨와 배씨가 반반씩 살면서 신분을 따져서 서로 전혀 왕래가 없이 살다가 시대가 변하면서 조금씩 교류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전국에서 제일 먼저 자립 마을로 선정되어 최우수 마을이 되면서 정부의 각종 보조가 있었고 최우수 마을로서 선진지 견학마을로 추앙을 받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8월 10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서 채집한 사촌성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소용이 참여하였다. 며느리가 가난한 시집살림이 원망스러워 친정에 가고싶다고 혼잣말을 한 것을 시아버지가 듣고 무슨 소리냐고 묻자소가 덕석을 쓰고 마당을 거니니 개가 짖는 소리입니다라고 둘러댄다는 것이 시댁에서 존대말만 하던 버릇이 나와 우스운 말이 되었더라는 얘기다. |
가사 | 성님 성님 사촌성님
시집살이 어떻든가 도리도리 도리판에1) 수저 놓기 어렵더라 수박식기 밥 뜨기도 어렵더라 달은 밝아 명랑하고 별은 밝아 청명한데 앞밭에라 이수갈아2) 분홍치매 뒷밭에라 쪽을3) 갈아 쪽저고리 곱게 곱게 해서 입고 우리 꺼먹소에4) 채반해서5) 한 짐 실어 흰개 잡아 짝짐 지고 흰닭 잡아 웃짐 지고 청두밀양 가고지고 메늘아가 그게 무슨 소리냐 소씨가 꺼치씨를6) 쓰시고 마당에 거니시니 개씨가 짖습니다 1)도리판 : 둥근상. 2)이수 : 잇꽃. 붉은 꽃물을 짜서 물감으로 쓴다. 3)쪽 : 남빛 물감으로 쓰는 식물이다. 4)꺼먹소 → 검은 소. 5)채반 : 신부가 근친(覲親)할 때 해가는 맛난 음식. 6)꺼치씨 : 짚으로 만들어 소 등을 덮어 주는 덕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