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옛날 옛적 |
주제분류 | 민요 > 한탄요 > 신세한탄요 > 신세한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의 신세타령-옛날 옛적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소용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소용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는 성주 이씨와 성산 배씨의 집성촌으로 이시망씨와 배진호씨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었다고 한다. 이씨와 배씨가 반반씩 살면서 신분을 따져서 서로 전혀 왕래가 없이 살다가 시대가 변하면서 조금씩 교류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전국에서 제일 먼저 자립 마을로 선정되어 최우수 마을이 되면서 정부의 각종 보조가 있었고 최우수 마을로서 선진지 견학마을로 추앙을 받기도 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9일에 충청북도 영동군 용산면 신항리 수리에서 채집한 옛날 옛적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소용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옛날 옛적 간날 갓적
특수바리 영감적에1) 더벅머리 소시적에 접시밥도 못다 먹고 왕골자리 똥쌀적에 그 시절이 좋던감은 우리 엄마 나 슬적에2) 도래나물3) 잡셨던가 돌아가민 걱정이요 우리 어머니 나 슬적에 구비나물4) 잡샀던가 구비 구비 간쟁이네5) 우리 어머니 나 슬적에 가지나물 잡샀던가 가지 가지 걱정일세 나이 먹고 철이 드니 똥쌀제가 좋던감은 애로점도 많아지고 걱정도 태산이다 1)특수바리 영감적에 : 소매에 코도 닦고 하던 아이시절을 말한다고 한다. 2)나 슬적에 : 임신할 적에. 3)도래나물 → 도라지. 4)구비나물 → 고비나물. 5)간쟁이네 → 걱정이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