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진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옥천군 옥천읍 금구리의 자진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창권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조창권 |
지역개관 | 옥천읍 소재지로서 읍의 중심지에 자리잡고 있다. 금구는 마을의 지형이 금거북이가 진흙에 빠져있는 형국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음지가화, 양지가화 등의 자연부락이 있다. 그리고 가화 뒤에 있는 산이 삼성산으로 성터가 남아 있다. 지금은 주민들 대부분이 상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매화리, 가풍리, 원각, 군소 등의 들에 나가서 농사를 짓는 가구도 많다. 동제는 지내지 않는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15일에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금구리에서 채집한 자진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창권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강원도, 충북 일부, 전북 무주 등지 에서 들을 수 있는 자진아라리. 이 마을에서는 나무하러 갈때 주로 많이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만나보세 만나보세 만나보세
아주까리 정자로 만나보세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야 아리라랑 고개로 넘어간다 세상천지 만물법은 다 잘냈건만 청춘과수 수절법은 잘못냈네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야 아리라랑 고개로 넘어간다 논밭전지 쓸만한 건 신작로 되고 말마디나 하는 놈은 유치장 가고 자석께나1) 둘 놈은 공동비2) 가고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야 아리라랑 고개로 넘어간다 아주까리 동박기름 머리서 놀고 삼동주3) 석자수건 허리서 논다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야 아리라랑 고개로 넘어가네 밥 멕기 싫은 것은 개나 주지 임 뵈기 싫은 것은 백년 웬수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야 아리라랑 고개로 넘어간다 영감아 땡감아 개떡 먹게 보리 방아 품 팔아서 개떡 쪘네 개떡을 쪘으면 좀 많이 쪘나 열두폭 밥푸제로4) 한밥푸제 못먹겄네 못먹겄네 나 못먹겄네 삼년 묵은 보리개떡 나 못먹겄네 시아버지 골내걸랑 술 받어주고 시어머니 골내걸랑 이 잡어주지 껄끄덩 껄끄덩 찧는 이 방아 언제나 다 찧고 물 마중가나 요놈의 처녀야 까불지 마라 너 바라볼라다 똥장군5) 깼네 요놈의 총각아 까불지 마라 너 바라볼라다 물동이 깼네 시어머니 죽으니께 시원하더니 보리방애 물붜농께 생각나고 시아버지 죽으니께 시원하더니 왕골자리 떨어징께 생각나네 1)자석 → 자식. 2)공동비 → 공동묘지. 3)삼동주(三冬紬) : 피륙의 한 가지. 4)밥푸제 → 밥보자기. 5)똥장군 : 인분(人糞)을 옮길 때 사용하는 오지 또는 나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