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고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세시의례요 > 풍물패의례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음성군 소이면 봉전1리의 고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노희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노희태 |
지역개관 | 음성군은 충청북도의 서북부에 위치하여 동쪽은 중원군, 서쪽은 진천군, 남쪽은 괴산군, 북쪽은 경기도 여주군, 이천군, 안성군 등과 접한다. 차령산맥과 노령산맥이 북서부에서 분기하고 있어 많은 잔구성 구릉지가 발달하였으며 소규모의 분지나 하곡이 산재하여 있다. 북단에 있는 차령산맥과 노령산맥이 갈라지는 오갑산(梧甲山)을 정점으로 경기도와의 경계에는 차령산맥의 낮은 봉우리들이 하천에 의하여 단절되면서 남서로 달리고 있으며 동쪽 경계가 되어 있는 노령산맥에는 원통산, 행덕산, 수리산, 부용산, 가섭산 등이 남쪽으로 연이어 있어 산지를 이루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9월 3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소이면 봉전1리에서 채집한 고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노희태가 참여하였다. 전체의 내용은 달거리 - 살풀이 - 나라 길 밟어 내려오는 구절 - 집안 자손 부귀영화 명복 비는 구절 - 장사 - 농사 - 삼재풀이 - 성주풀이 - 방안치장 - 앞마당치장 - 울 치장 - 바깥마당 치장 - 연못 치장 - 가축 먹이는 구절 - 자손들 교육 - 모든 병, 액 풀이 - 반야심경 등의 순서로 이어진다. 가창자가 절에서 걸립을 다닐 때에는 자체적으로 구성된 풍물패가 없었기 때문에 인근 마을에 있는 풍물패를 사서 함께 다녔으며, 규모는 사물과 화주, 앞에서 길을 안내하는 권선 등을 포함하여 모두 7-8명 정도의 소규모로 구성되어서 다녔다고 한다. 충청북도의 고사소리는 다른 지역에 비해 사설이 풍부하다. |
가사 | 음향류_한국민요대전충청북도편CD0321음성군소이면봉전1리고사소리_19920903.hw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