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 선정3리의 모찌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동, 박대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영동, 뒤/박대현 외 |
지역개관 | 천평3리는 바갈미라는 자연부락으로 선정3리와는 붙어 있어서 한 마을이나 다름없다. 전에는 40호가 넘는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23호가 거주하고 있고 주민의 대다수가 논농사와 담배,인삼을 위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5년전에 마을에 공장이 들어와서 이 곳에 나가는 사람도 많다. 이러한 사정은 선정3리도 마찬가지이다. 선정3리는 원래 자연부락 이름이 망태박골이었는데 이름의 어감이 좋지 않다고 마을사람들이 흥태동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주요 성씨는 전주 이씨와 안동 권씨이며 마을의 가구수는 원래 23호로 줄지는 않았다. 마을에는 오래된 벚나무가 서 있는 서낭당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9월 3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 선정3리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동, 박대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찌는 소리로 강원도의아라리와 같은 곡을 일정한 후렴과 함께 선후창으로 불렀다. 뒷소리 받는 사람들을 아기패라고 부르며, 앞소리는 한사람이 주로 메긴다. 모는 10 - 15명이 오전 7시경부터 찌기 시작하여 새이(오전 새참)때 까지 찐다. |
가사 | 아리아리랑 아리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다 내가 넘어가네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요 아리라랑 고개로 나를 넹겨주게 산신당 까마구는 까욱까욱하는데 정든님에 병환은 점점 깊어 가네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요 아리라랑 고개로 나를 넹겨주게 세상에 마련한데 다 잘했는데 청춘과부 수절법은 참 잘못했네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요 아리라랑 고개로 나를 넹겨주게 삼천리 강산에다 전봇줄을 늘이고 사기등잔1) 조화로다 임 소식 듣네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요 아리라랑 고개로 나를 넹겨주게 풍년이 들려거든 임풍년이나 들구 바람이 불려거든 기와2) 바람만 불어요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요 아리라랑 고개로 나를 넹겨주게 청계산 금점이3) 얼마나 좋길래 꽃같은 나를 두고 연락선을 타나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요 아리라랑 고개로 나를 넹겨주게 세월에 봄철아 오고가질 말어요 아까운 우리 청춘이 다 늙어가요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요 아리라랑 고개로 나를 넹겨주게 여보시오 당신님네 내 말을 들어봐요 이 세상 나온 사람 누구 괄세 할거요 아리라랑 아리라랑 아라리요 아리라랑 고개로 나를 넹겨주게 1)사기등잔(碍子) : 전기 절연체로 쓰는 사기로 만든 통으로 뚱딴지라고도 한다. 2)기와 → 지화(紙貨) : 돈. 3)금점 → 금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