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여기도 또 하나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 신정3리의 모심는소리-여기도 또 하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동, 박대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영동, 뒤/박대현 외 |
지역개관 | 천평3리는 바갈미라는 자연부락으로 선정3리와는 붙어 있어서 한 마을이나 다름없다. 전에는 40호가 넘는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23호가 거주하고 있고 주민의 대다수가 논농사와 담배,인삼을 위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5년전에 마을에 공장이 들어와서 이 곳에 나가는 사람도 많다. 이러한 사정은 선정3리도 마찬가지이다. 선정3리는 원래 자연부락 이름이 망태박골이었는데 이름의 어감이 좋지 않다고 마을사람들이 흥태동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주요 성씨는 전주 이씨와 안동 권씨이며 마을의 가구수는 원래 23호로 줄지는 않았다. 마을에는 오래된 벚나무가 서 있는 서낭당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9월 3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 선정3리에서 채집한 여기도 또 하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동, 박대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모심는 소리는 이 소리만 불렀다. 논에는 다른 지역과 달리 갈대신 풀을 뜯어 넣었는데 이 곳은 갈이 귀하기도 했지만 갈을 논에 넣어도 썩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여기도 하나계통의 모심는 소리는 경기도 중남부(화성/용인/이천/안성)지역과 충북일부(음성일부/진천일부)지역이다. 논을 맬 때는 아이와 이듬은 호미로 매고 세벌은 손으로 훔쳤다. 논매는 소리는 아이짐은상사뒤야를 부르고 두벌은 방아소리와 곯었네를 많이 불렀다. |
가사 | 여기도 하나 저화 저기도 또 하날세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이 논배미를 얼른 심구 저 논배미루다 넘어가세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춘풍하늘 봄날씨에 해를 끊든 저 두견아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고대공산을 어디 두고 내 문전에 와서 왜 우느냐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니가 가면은 아주 가나 아주 간들 잊을소냐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여보시오 시주님네 요내말씀 들어보게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농사는 대본지춘지로 해였는데 누가 괄세를 해열꺼나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여기도 하난데 신발을 벗구 들어오소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여기저기 꼽드래두 삼백출 짜리루 꼽아주게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청천하늘엔 잔별만 많구 나의 가심은1) 수심두 많에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시들 새들 봄배차는2) 찬이슬 오기만 기다리구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옥에 갇힌 춘향이는 이도령 오기만 기다린다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여기도 하난데 저기 여기 꼽드래두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튼튼이 꼽아주면 일년 열두달 나고보네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삼백은 육십일이요 우리농사꾼 보아 주소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여기도 심었는데 바지하구 걸질마소3)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천하지대본이 농사백이 또 있느냐 여기도 또하나 저하 저기도 새로하나 1)가심 → 가슴. 2)봄배차 → 봄 배추. 3)여기도~걸질마소 : 모를 심은 곳에 그냥 다니면 모가 다치게 되므로 바지 입은 채로 걸어다니지 말라는 소리인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