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말질하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음성군 삼성면 선정3리의 말질하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영동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영동 |
지역개관 | 천평3리는 바갈미라는 자연부락으로 선정3리와는 붙어 있어서 한 마을이나 다름없다. 전에는 40호가 넘는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23호가 거주하고 있고 주민의 대다수가 논농사와 담배,인삼을 위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5년전에 마을에 공장이 들어와서 이 곳에 나가는 사람도 많다. 이러한 사정은 선정3리도 마찬가지이다. 선정3리는 원래 자연부락 이름이 망태박골이었는데 이름의 어감이 좋지 않다고 마을사람들이 흥태동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주요 성씨는 전주 이씨와 안동 권씨이며 마을의 가구수는 원래 23호로 줄지는 않았다. 마을에는 오래된 벚나무가 서 있는 서낭당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8월 2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선정3리에서 채집한 말질하는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영동이 참여하였다. 말질을 해서 볏가마에 벼를 담을 때 하는 노래이다. 그런데, 가창자의 말로는 말질하는 소리와 실제 말질하는 것과는 상관이 없다고 한다. 즉 말질을 하는 사람은 숫자와 상관없이 소리만 하고 그 옆에서 기둥이나 벽에 표시를 하며 말 수를 세는 사람은 따로 있다. |
가사 | 여기두 하난데 또 한 말이 들어가네
또 한 말이 들어가면 새루 서 말이 되었구나 느말째 들어가니 말을다가 엎어주게1) 하머 엿말이 되었구려 엿말째 일곱 말이 들어가니 여덟 말이 되었구려 여덟 말째 들어가니 말이나 얼릉 엎어주게 열말이 들어갈 젠 고봉2) 한 말 보여주게 여보시오 나 좀 보소 우리 나리 우리 보소 우리나 하 살려주면 천추만대 잘 사리로구려 목이 말러 못하겄네 술이나 한 사발 가지구 오게 이야 지저 잡수세요 성히 성찬 해디리니 잡수시고 봐 주세요 우리 생각 해주세요 말이나 빨리 되라 엎어서는 안되는구려 새루 하나루다 두 말을 되고 보니 스 말째 되구보니 말이나 얼른 엎으세요 느 말째 들어가니 고봉이루 되는구나 일곱 말째 들어가니 얼렁 말을 엎으세요 여덟 말째 들어가니 말을 얼릉 엎으시오 열말 째나 들어가니 말을 고봉 되어주소 1)느말째~엎어주게 : 말질을 하다가 가끔 장난 비슷하게 말을 거꾸로 엎어서 윗부분만 곡식을 덮어서 한 말처럼 보이게 하는 것을 말한다. 2)고봉(高峯) : 되질이나 말질을 할 때 넘치게 수북하게 담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