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달강 달강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육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 선정3리의 아이어르는소리-달강 달강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서화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서화순 |
지역개관 | 천평3리는 바갈미라는 자연부락으로 선정3리와는 붙어 있어서 한 마을이나 다름없다. 전에는 40호가 넘는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23호가 거주하고 있고 주민의 대다수가 논농사와 담배,인삼을 위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5년전에 마을에 공장이 들어와서 이 곳에 나가는 사람도 많다. 이러한 사정은 선정3리도 마찬가지이다. 선정3리는 원래 자연부락 이름이 망태박골이었는데 이름의 어감이 좋지 않다고 마을사람들이 흥태동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주요 성씨는 전주 이씨와 안동 권씨이며 마을의 가구수는 원래 23호로 줄지는 않았다. 마을에는 오래된 벚나무가 서 있는 서낭당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9월 3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천평3리, 선정3리에서 채집한 달강 달강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서화순이 참여하였다. 아이를 마주 앉히고 두 손을 잡아 앞뒤로 흔들면서 하는 노래이다. |
가사 | 달강달강 세상 달강
서울길을 가다가 옆전 한 푼 줏어서 밤 한 말을 사다가 살강 밑에 묻었더니 머리 깜은 새앙쥐가 들랑날랑 다 까 먹고 다만 한 알을 냉겼는데 큰솥에 삶으랴 옹솥에다1) 삶으랴 주걱으로 건지랴 조랭이로2) 건지랴 껍데기는 너하고 나하고 먹고 알맹이는 아버지하고 엄마하고 드리자 1)옹솥 : 작은 솥. 2)조랭이 → 조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