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기와밟기노래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세시놀이노래 > 세시마당놀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 가미산의 기와밟기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을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고을출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 가미산은 광주 반씨 집성촌으로 가구수 30호 모두가 광주 반씨이고 자연부락은 가미산, 방주간, 도란말로 이루어져 있다. 가미산은 마을 뒷산이름으로 개머리산 또는 견두산이라 부르다가 나중에 개미산, 가미산으로 바뀌었다. 도란말은 돌아온다는 뜻이고, 방주간은 마을 앞에 보이는 산이 시체가 누워있는 형국이라 보기가 싫다고 방축을 쌓고 나무를 심어 보이지 않게 했는데 이 때 방축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방주간과 도란말은 반씨와 타성이 반반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12월 23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 가미산에서 채집한 기와밟기노래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을출이 참여하였다. 정월대보름 부녀자들의 세시풍습인놋다리밟기를 하며 부르던 노래이다. 여럿이 촘촘히 서서 허리를 굽히면 한사람이 양쪽 두 사람의 부축을 받고 사람들 등짝 위로 올라가 밟아간다. 놋다리밟기는 경북 안동지방에 전해지는 것이 유명하다. |
가사 | 이 지아가1) 웬지안가
정상감사에2) 놋지아일세3) 이 지아를 밟을 적에 무슨 말을 타고 왔나 백말을 타고 왔지 이 지아를 밟을 적에 무슨 갓을 씨구 왔나 통영 갓을 씨구 왔지 이 지아를 밟을 적에 무슨 망건을 씨구 왔나 올때기4) 망건을 씨구 왔지 이 지아를 밟을 적에 무슨 조고리 입구 왔나 틀누비조고리5) 입고 왔지 이 지와를 밟을 적에 무슨 바질 입구 왔나 양누비바지를6) 입고 왔지 이 지와를 밟을 적에 무슨 제님을7) 치구 왔나 율멕이제님을8) 치구 왔지 이 지와를 밟을 적에 무슨 신을 신구 왔나 백대신을9) 신구 왔지 이 지와가 웬 지완가 정상감사에 놋지왈세 슬슬이나 밟으세 1)지아 → 기와. 2)정상감사 → 경상감사. 3)놋지아 : 놋쇠로 만든 기와. 4)올때기 : 가창자는 임금이 쓰던 좋은 망건이라고 한다. 5)틀누비조고리 : 틀로 누빈 저고리. 6)양누비바지 : 곱게 잘 누빈 바지를 말한다. 7)제님 → 대님. 8)율멕이제님 : 올때기 대님이라고 한다. 9)백대신 : 하얀 가죽으로 만든 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