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달두 달두 밝다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아동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 가미산의 달두 달두 밝다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을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고을출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 가미산은 광주 반씨 집성촌으로 가구수 30호 모두가 광주 반씨이고 자연부락은 가미산, 방주간, 도란말로 이루어져 있다. 가미산은 마을 뒷산이름으로 개머리산 또는 견두산이라 부르다가 나중에 개미산, 가미산으로 바뀌었다. 도란말은 돌아온다는 뜻이고, 방주간은 마을 앞에 보이는 산이 시체가 누워있는 형국이라 보기가 싫다고 방축을 쌓고 나무를 심어 보이지 않게 했는데 이 때 방축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방주간과 도란말은 반씨와 타성이 반반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5년 8월 2일에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보천리 가미산에서 채집한 달두 달두 밝다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고을출이 참여하였다. |
가사 | 달두 달두 밝다
명달두 밝다 남호장1) 저고리 어화둥 백항라2) 저고리 어화둥 달두 달두 밝다 명달두 밝다 남호장 저고리 어화둥 백항라 저고리 어화둥 1)남호장 → 남회장 : 저고리의 겨드랑이로부터 소매까지 남색으로 된 저고리. 2)백항라(白亢羅) : 항라는 명주, 모시, 무명실 등으로 짠 피륙의 한 가지이며 씨를 세 올이나 다섯 올씩 걸러서 구멍이 송송 뚫어진 것으로 여름 옷감에 적당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