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제천군 청풍면 도신리 실리곡의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권용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권용언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제천군 청풍면 도신리 실리곡은 11가구의 37명이 거주하는 작은 마을이다. 도신리는 10년전에 도리와 신리가 합하여 도신리가 되었다. 잣이 많아 실리곡이라고 했다는데 밀양 박씨, 청풍 김씨가 제일 먼저 들어왔고 지금은 안동 권씨가 많다. 마을이 번창했을 때는 30호 가까이 있었으며 주민들은 담배와 고추를 위주로 농사를 짓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8월 21일에 충청북도 제천군 청풍면 도신리 실리곡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권용언이 참여하였다. 산에 꼴을 베거나 나무를 하러 가면서 불렀다고 한다. 강원도의 아라리(정선아라리)와 같은 노래이다. |
가사 | 안달미 깔다리가1) 톡톡 씨러졌는데
뒷집에 김도령아 꼴 비루 갑시다 산수갑산에 머루다래는 얼크러설크러졌는데 우리는 언지언지나 엉크러성크러지느냐 해달도 변하면 일식월식을 하는데 사나대장부 마음인들 변치 않을소냐 한치뒷산에 곤드레 딱지가 나지미맛만 같다면 병자년 숭년 봄에도 봄 잘 살어 났지 녹음방초야 승하시는 연연이두나 오건만 한번 가느네 우리 인생은 왜 아니 오나 가느네 세월을 원망치를 말고 남으네 요 한 세상을 잘 놀아 봅시다 비가 올라나 눈이나 올라나 억수장마 질라나 망월산2) 꼭대기 검정구름 찌었네 첩첩산중에 참매미 원수는 왕거미줄이 원수요 집구석케야 원수는 시에미 시애비 원수라 서산에 지는 저 해는 지구나 싶어 지나 나를 버리구 가시는 임은 가구나 싶어 가느냐 일본 동경에 가신 낭군은 돈이나 벌면 오시지 북망산천에 가신 낭군은 어느 천년에 오느냐 산지당골에 까막까치는3) 까왁까왁 하는데 병든님 병환은 점점 깊어 가노라 길가에 핀 꽃도 꽃은 꽃이 되구요 하루밤만 자구나 가도 임은 임이로다 노다 갑시다 자다 가세요 잠 자다가 가세요 보름달이야 다 넘어가드룩 잠 자다가 가세요 넌두 남이요 난두 남이요 다 같은 남남인데 하루 저녁만 정들구 보면은 남 될 것이 없구나 1)깔다리 : 소먹이 풀. 갈대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한다. 2)망월산 : 제천군 청풍면에 있는 산. 3)까막까치 → 까마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