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제천군 봉양면 삼거리의 모심는소리-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철, 유진원, 윤치원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이상철, 나/유진원, 다/윤치원 |
지역개관 | 봉양면 소재지로 삼거리 또는 세거리라고 부르며 본동인 갈겅지, 답동, 송치, 두무동, 제비랑의 5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수 140여 호이고, 유권자 수는 296명이다. 원주 원씨,경주 이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터를 잡았고 갈겅지에 갈씨가 많이 살아서 갈겅지라고 했다하나 지금은 한 명도 없다. 마을에는 서낭당이 있는데 300년 정도된 느티나무가 서낭목이고 당집이 있으며 서낭당 안에는 신주와 폐백이 걸려 있다. 동제는 당고사라고 하며 해마다 음력 정월 초사흘로 날을 정해놓고 지낸다. 제관은 축관, 제관, 공양주(도가)로 세 명이며 축은 태우지 않는다. 제물은 삼실과인 밤, 대추, 곶감과 포, 백설기 한 시루, 쇠고기를 쓰며 제주는 전에는 봉했으나 지금은 시장에서 사다 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9월 2일에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삼거리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상철, 유진원, 윤치원이 참여하였다. |
가사 | 가:꼽아주게 꼽아주게 심어를 주게
삼백출 줄모루만다 꼽어를 주게 나:무지공산에1) 뜬 저 구름은 비나 주랴 떴지 어린 가장에 마음이 달뜬 건 누구 주랴 떳느냐 가:허리 굽으네 늙으네 저 장송 광풍을 못이기여 반춤만 두둥실 추면서 주자화감이 웬말이냐 다:신정선 어러리 구정선에 내려라 늙구나 젊으나 꽂구나 꽂으면 인출풍년이로구나2) 나:아침저녁에 우는 새는 배나 고파 울건만 밤중에나 우는 새는 임을 그려 우지 가:낙수진경에3) 나그네길은다 임이 다니던 신작로 오작교에야 광한루는다 임이 노시던 곳이라 나:뒷동산 범나비는 왕거무줄이 원수요 당신을 사굴라니 본당자가 원수라 1)무지공산 → 무주공산(無主空山) : 인가도 인기척도 전혀 없는 쓸쓸한 산을 말하기도 한다. 2)인출풍년(人出豊年). 3)낙수진경 → 녹수진경(綠水眞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