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진방아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제천군 봉양면 삼거리의 논매는소리-진방아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철, 유진원, 윤치원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가/이상철, 앞나/유진원, 뒤/윤치원 외 |
지역개관 | 봉양면 소재지로 삼거리 또는 세거리라고 부르며 본동인 갈겅지, 답동, 송치, 두무동, 제비랑의 5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수 140여 호이고, 유권자 수는 296명이다. 원주 원씨,경주 이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터를 잡았고 갈겅지에 갈씨가 많이 살아서 갈겅지라고 했다하나 지금은 한 명도 없다. 마을에는 서낭당이 있는데 300년 정도된 느티나무가 서낭목이고 당집이 있으며 서낭당 안에는 신주와 폐백이 걸려 있다. 동제는 당고사라고 하며 해마다 음력 정월 초사흘로 날을 정해놓고 지낸다. 제관은 축관, 제관, 공양주(도가)로 세 명이며 축은 태우지 않는다. 제물은 삼실과인 밤, 대추, 곶감과 포, 백설기 한 시루, 쇠고기를 쓰며 제주는 전에는 봉했으나 지금은 시장에서 사다 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9월 2일에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삼거리에서 채집한 진방아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상철, 유진원, 윤치원이 참여하였다. 아이(초벌) 논맬 때 하는 소리다. 모심고 한달 후에 초벌매고 열흘만에 이듬(두벌)맨다. 이 소리를 진방아타령이라고 하는데 함께 어울려 하면 십리까지 들렸다고 하는 소리다. 메기는 소리가 돌아가며 부르는 아라리로 되어있고, 받는 소리는 긴방아소리로 되어 있는데 받는소리 중간에 뎅이 이름 등을 외치는 잡소리가 삽입되는 것이 매우 특이하다. |
가사 | 가:정선읍네에 물레방아는 물을 안고서 도는데
우리집에야 저 멍텅구리 나를 왜 안구 못 도나 에헤이 이이요오 이히 이이 이히야 아하 아하이 -이호호호! 가:무주공산에 해와 달뜬건 남이나 보기나 좋건만 어린 가장에 맘 달뜬 것은 남 보기도 싫어 에헤이 이이요오 이히 이이 이히야 아하 아하이 -이호호호! 나:영월 영춘에1) 수수 풍년은 해마두 연연이 지건만 하루 저녁 임 숭년은 저녁마둥이라 에헤이 이이요오 이히 이이 이히야 아하 아하이 -이호호호! 가:비가 올라나 눈이 올라나 억수장마가 지려나 만수산 검은 구름이 막 모여드네 에헤이 이이요오 이히 이이 에따 넘어간다 에따 넘어간다 꺾어데이2) 꺾어데이 꺾어데이 꺾어데이 에따 넘어간다 에따 넘어간다 이이 이히야 아하 아하이 히호호호!!! 1)영월 영춘:강원도 영월과 충북 단양군의 영춘으로 지명이다. 2)꺾어데이`:`딱딱해서 발딱 넘어가는 흙덩이. 이외에도 물렁한 것을 말하는 과부수심데이와 진 곳으로 제자리에 엎어놓는 훑어뎅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