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제천군 봉양면 삼거리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상철 |
지역개관 | 봉양면 소재지로 삼거리 또는 세거리라고 부르며 본동인 갈겅지, 답동, 송치, 두무동, 제비랑의 5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수 140여 호이고, 유권자 수는 296명이다. 원주 원씨,경주 이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터를 잡았고 갈겅지에 갈씨가 많이 살아서 갈겅지라고 했다하나 지금은 한 명도 없다. 마을에는 서낭당이 있는데 300년 정도된 느티나무가 서낭목이고 당집이 있으며 서낭당 안에는 신주와 폐백이 걸려 있다. 동제는 당고사라고 하며 해마다 음력 정월 초사흘로 날을 정해놓고 지낸다. 제관은 축관, 제관, 공양주(도가)로 세 명이며 축은 태우지 않는다. 제물은 삼실과인 밤, 대추, 곶감과 포, 백설기 한 시루, 쇠고기를 쓰며 제주는 전에는 봉했으나 지금은 시장에서 사다 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2년 9월 2일에 충청북도 제천군 봉양면 삼거리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상철이 참여하였다. 고인 박석봉(남,67세)씨 장례식의 상여 나가는 실황을 녹음한 것이다. |
가사 | 어허 어허
어허 어하 어허 어허 어허 어하 세상천지 만물중에 사람밖에 또 있는가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여보시오 시주님네 이내 말씀 들어보소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이 세상에 나온 사람 뉘덕으로 나왔는가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아버님전 뼈를 빌고 어머님전 살을 빌어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칠성님전 명을 빌고 제석님전 복을 빌어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석가여래 공덕으로 이내 일신 탄생하니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한두살에 철을 몰라 부모 은공 알을 손가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이삼십을 당도하니 어이없고 애닯구나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인간칠십 고래희라1) 없던 망령이 절로 나네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어제 오늘 성튼 몸이 저녁나절 병이 들어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섬섬하고 약한 몸에 태산같은 병이 드니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부르나니 어머니요 찾나니 냉수로다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인삼녹용 약을 쓴들 약효렴이 있을 손가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무녀 불러 굿을 한들 굿덕인들 입을 손가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제미쌀2) 쓸고 쓸어 명산대천 찾어가세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변방객리 사지중에3) 정벌하는 저 군사야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너에 대왕 새로 나니 전쟁하면 죽을 세라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천금같이 중한 몸이 전장검혼4) 되리로다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너에 처자 소녀들아 한식낙엽5) 찬바람에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한옷6) 지어 넣어 두고 오늘날에 소식 오나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오늘날에 소식 오나 내일날에 편지 오나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보옥같이 좋은 얼굴 만구하는 깊은 간장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썩은 눈물 밤낮으로 밤낮으로 흘리면서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이마우에 손을 얹고 나간 길을 바라보며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남산하에7) 장찬밭을 어느 장부 갈아 주랴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태호정비8) 좋은 술을 뉘로하야 맛을 보나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어린자식 애비 불러 어미 간장 다 녹는다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우리낭군 떠날적에 중문에서 손길 잡고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눈물지며 이른 말이 청춘홍안 두고 가네 어허 어하 에헤이 어호 1)인간칠십 고래희(人間七十 古來稀). 2)제미(祭米)쌀:제에 올릴 메를 지을 쌀. 3)변방객리 사지중(邊方客里 死地 中)에. 4)전장검혼(戰場劍魂). 5)한식낙엽 : 寒山落木을 말하는 듯. 6)한옷 : 입을 옷 한가지 한가지를 말한다고 함. 7)남산하(南山下). 8)태호정비 : 조선팔도에서 가장 귀한 술이라고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