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방아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중원군 노은면 수룡리 천룡의 논매는소리-방아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승옥, 홍화선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홍승옥, 뒤/홍화선 외 |
지역개관 | 수룡3리는 천룡이라는 자연부락으로 가구수 23호에 인구수 73명이다. 남양 홍씨 집성촌으로 21호가 남양 홍씨이다. 마을이 한창 번성했을때는 76가구가 있었다고 하며 원모랭이인 수룡1구는 연일 정씨 집성촌이고, 팔송인 수룡2리는 한양 조씨 집성촌이며, 삼막은 전주 이씨 집성촌이다. 보룡산 낙맥이 내려오면서 용추골이 생기고 이 용추골의 유래에서 천룡이라는 마을 이름이 생겼다. 마을은 논농사가 더 많지만 고추와 담배의 특산지이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5일에 충청북도 중원군 노은면 수룡리 천룡에서 채집한 방아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승옥, 홍화선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방아소리는 긴방아소리와 짜른방아소리로 이어진다. 뒷소리를 하는 사람들을 앞소리를 그대로 따라 부른다 하여애기패라고 부른다. 긴방아소리를 메기는 사람은 일을 하지 않는다. 아이(초벌) 맬 때는대허리를 많이 부르고 이듬(두벌)맬 때 이 방아소리를 부른다. 세벌 피사리 때는 노래가 별로 없으나 상사데야를 두벌이나 세벌에서 부르기도 했다고 한다. 논에서 일을 할 때는 하루에 보통 일곱 번을 쉰다고 한다. 대부분 주인집에서 참이 나올 때 쉬게 되는데 참은 술참과 담배참까지 포함하여 일곱 번이며, 아침, 점심, 저녁과 두번의 참이 나오는데 오전 10시 쯤에 나오는 참은새이라 하고 오후 5시 쯤에 나오는 참은제노리라고 한다. 그리고 일이 끝난 다음에 남은 음식을 마저 내놓은 것을멍석깐다고 하여 주인집에서 밤에 또 먹을 때도 있지만 이것은 비교적 넉넉한 집에서 내놓다고 한다. |
가사 | 에헤여라 방아호
에여라 방아호 이 방아가 뉘 방아냐 에여라 방아호 여주 이천 자채방아 에여라 방아호 충청도라 디딜방아 에여라 방아호 강원도라 절구방아 에여라 방아호 경상도로 내려서서 에여라 방아호 물방아가 시채라네1) 에여라 방아호 경기도로 껑충 뛰니 에여라 방아호 발동기 방아가 나신다네 에여라 방아호 흰미 백미를 씰코 씰어 에여라 방아호 조상모셔를 하여를 보세 에여라 방아호 명월명일 금일두에 에여라 방아호 부친기고 달었으니2) 에여라 방아호 하탕에다 수족을 씻고 에여라 방아호 상탕에다가 목욕을 하고 에여라 방아호 흰미 백미 씰코 씰어 에여라 방아호 한 되 두 되 모인 쌀이 에여라 방아호 한 석 두 석 쌓였으니 에여라 방아호 하탕중탕 상탕우에 에여라 방아호 씰코 씰은 쌀을 퍼다 에여라 방아호 에히여라 방아호 에여라 방아호 진수성찬 차려놓고 에여라 방아호 에히여라 방아호 에여라 방아호 1)시채 → 세 채. 2)부친기고 달었으니 : 부친의 제삿날이 당해 왔으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