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뒷동산에 할미꽃은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임산물채취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중원군 신니면 모남리 남악의 뒷동산에 할미꽃은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106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충청북도 > 충주시 |
생산지역 상세 | (구 중원군)신니면 모남리 남악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4 , 뒷동산에할미꽃은 , 민요 , 노동요 , 벌채노동요 , 임산물채취 , 충청북도 , 충북 , 충주시 , 1993 , 1995 , 뒷동산에 할미꽃은 , 조봉학 , 독창 , |
실연자 | 조봉학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봉학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모남리 남악은 마을 뒷산인 구용산(댑산) 아래로 탑골, 구멍밭골, 행상바우가 있다. 이 외에도 욧골, 장자울이 있으며 남악은 무슨 일이 있어도 남는다 해서 남매기라고 했다는데 현재 가구수 33호에 인구수는 100여명이다.마을에는 강씨가 제일 먼저 들어왔고 이씨와 윤씨가 배판했으나 지금은 각성바지이다. 마을 주민은 담배, 고추, 인삼 등을 주로 재배하고 있는데 작년에 주방용 환풍기 만드는 공장이 들어와서 공장에 다니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6일에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모남리 남악에서 채집한 뒷동산에 할미꽃은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조봉학이 참여하였다. 나물 뜯으러 가서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뒷동산에 할미꽃은 늙으나 젊으나 꼬부라졌네
천만가지 꽃 중에 무슨 꽃이 못되어 허리 굽고 등 굽은 할미꽃이 되었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