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한글뒤풀이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중원군 신니면 모남리 남악의 한글뒤풀이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남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홍남순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모남리 남악은 마을 뒷산인 구용산(댑산) 아래로 탑골, 구멍밭골, 행상바우가 있다. 이 외에도 욧골, 장자울이 있으며 남악은 무슨 일이 있어도 남는다 해서 남매기라고 했다는데 현재 가구수 33호에 인구수는 100여명이다.마을에는 강씨가 제일 먼저 들어왔고 이씨와 윤씨가 배판했으나 지금은 각성바지이다. 마을 주민은 담배, 고추, 인삼 등을 주로 재배하고 있는데 작년에 주방용 환풍기 만드는 공장이 들어와서 공장에 다니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6일에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모남리 남악에서 채집한 한글뒤풀이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홍남순이 참여하였다. |
가사 | 가갸거겨는 가지없는 이내 몸 거지도 움씨1) 되었네
나냐너녀는 날러가는 원앙새 연분 없어서 못짓겠네 다댜더뎌는 다다구 다다구 붙은정 떼어나 놓구두 못가겠네 라랴러려는 날싸드래 드는 정 널싸드래 소금 정2) 마먀머며는 말을 타고 썩 나시니 갈 질이 매연하다3) 바뱌버벼는 밥을 비벼 옆에 놓고 벗이 없어서 못먹겠네 사샤서셔는 서울 가신 낭군님 오늘이나 편지오까 내일이나 편지오까 아야어여는 아다구 다다구 모은 시간4) 하루 식전에 톡 털어 먹었네 자쟈저져는 잠을 자다 누웠다 보니 성주님이5) 혹 돌아 나섰네 카캬커켜는 칼을 들고 썩나서니 갈질이 전혀 없다 파퍄퍼펴는 팔을 비고 누웠으니 임이 오나 잼이6) 오나 타탸터텨는 타관살이 진절 넌더리도 난다 하햐허혀는 하릴없이도 되었구나 1)움씨 → 없이. 2)라랴러려~소금 정 : 나를 싸는 드는 정, 너를 싸는 속은 정일 것 같으나 가창자는 의미를 모른다고 함. 3)매연 → 묘연(杳然). 4)시간 → 세간 : 살림살이. 5)성주 : 집안을 지키고 보호한다는 신. 한지를 접어서 실에 묶어 대들보 등에 걸어 두고 신체(神體)로 삼는다. 6)잼 → 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