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집터다지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토건노동요 > 건축 > 집터다지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중원군 신니면 마수리 마제의 집터다지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지남기, 박순석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지남기, 뒤/박순석 외 |
지역개관 | 마수리는 새말, 질뚝개, 마제의 세 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질뚝개는 개가 드러누운 형국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제는 옛날에 태조 이성계가 한양 도읍할 때 인재를 찾으러 다니다가 이 곳에서 30리 떨어진 안촌이라는 마을에 백극염이를 찾으러 가는 도중 말에서 내려 쉬어 갔다해서 마제라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7일에 충청북도 중원군 신니면 마수리 마제에서 채집한 집터다지는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지남기, 박순석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에헤 지경이요
에헤 지데미호 선천수 후천수는 에헤 지데미호 억만세계두 무궁한데 에헤 지데미호 건곤이 개벽 후에 에헤 지데미호 산천이 개탁할제 에헤 지데미호 산지조종은 곤륜산이오 에헤 지데미호 수지조종은 황하술세 에헤 지데미호 곤륜산 일지맥에 에헤 지데미호 금수강산 마련될제 에헤 지데미호 백두산은 주산되고 에헤 지데미호 한라산이 안산인데 에헤 지데미호 압록강 주수되고 에헤 지데미호 두만강이 백호로다 에헤 지데미호 주춤주춤 나려서서 에헤 지데미호 충청도를 당도하니 에헤 지데미호 가엽산이 기봉이로다 에헤 지데미호 가엽산 일지맥에 에헤 지데미호 이 터전이 마련되니 에헤 지데미호 이 터전에다 터를 닦고 에헤 지데미호 이 터전에다 집을 질제 에헤 지데미호 동서남북에 목수를 불러 에헤 지데미호 집을 짓구 할라할제 에헤 지데미호 에헤 지경이요 에헤 지경이요 에헤 지경이요 에헤 지경이요 (음반에는 여기까지 수록함) 경상도 안동땅에 에헤 지데미호 솔씨 서말을 뿌렸더니 에헤 지데미호 밤이 되면은 찬이슬 맞고 에헤 지데미호 낮이 되면은 햇볕을 받어 에헤 지데미호 점점이도 자라나서 에헤 지데미호 소부동으루 자라나고 에헤 지데미호 대부동으루 자랐으니 에헤 지데미호 소부동은 제쳐 놓고 에헤 지데미호 대부동으루 골라 내서 에헤 지데미호 성주목을 모실적에 에헤 지데미호 앞집에 김목수도 에헤 지데미호 뒷집에나 이목수도 에헤 지데미호 성주목을 모시러 올 제 에헤 지데미호 굽은 낭구는 젖다듬고 에헤 지데미호 젖은 낭구는 굽다듬어 에헤 지데미호 성주목이랄1) 구할적에 에헤 지데미호 성주본이 어딜런가 에헤 지데미호 경상도 안동땅에 에헤 지데미호 제비원이에 본이로다 에헤 지데미호 성주목을 모셔다가 에헤 지데미호 이 터전에다 집을 질 제 에헤 지데미호 어떤 형식에 집을 지었나 에헤 지데미호 안채는 복복자요 에헤 지데미호 행랑채는 목심수자 에헤 지데미호 좌우로다가 행랑을 질 제 에헤 지데미호 편안강자 편안녕자 에헤 지데미호 수복강령으로 집을 짓고 에헤 지데미호 소슬대문을 높이 달 제 에헤 지데미호 날일자 소슬문을 에헤 지데미호 달월자로다 달었는데 에헤 지데미호 대문하면은 만복래라 에헤 지데미호 일일수지는 황금출이라 에헤 지데미호 모든 재목이 들어올제 에헤 지데미호 물복은 흘러들고 에헤 지데미호 구랭이복은 기어들고 에헤 지데미호 쪽제비복은 뛰어들고 에헤 지데미호 인복은 다 걸어 들어 에헤 지데미호 지씨대문에 만복래로다 에헤 지데미호 에헤 지경이호 에헤 지데미호 1)성주목:대들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