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데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중원군 주덕읍 신양1리의 논매는소리-상사데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순배, 신태학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김순배, 뒤/신태학 외 |
지역개관 | 주덕읍은 1995년 5월에 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지만 마을의 역사는 불과 40-50년으로 짧다고 한다. 신양리는 주덕읍 소재지로 원래는 주덕면 재내리 방주간의 뗏집거리라고 했다. 이 곳은 옛날부터 노는 땅이 많아서 떼(잔디)가 많았다. 이 떼를 직사각형으로 오려서 파가지고 벽을 쌓고, 위에는 초가지붕을 얹어서 지은 집이 뗏집인데 이러한 뗏집이 5-6채 정도 모여 살던 마을이라고 한다. 주덕읍의 소재지는 원래 창전리 음버들에서 이곳으로 옮긴 것이며 약 60여년전에 장이 서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번창했다. 장은 5일장으로 3일과 8일에 서는데 인근 마을인 신니, 노은, 이류면까지 모여들어 4개 면이 모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8일에 충청북도 중원군 주덕읍 신양1리에서 채집한 상사데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배, 신태학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뒤에 나오는 대허리와 함께 이듬(두벌) 논맬 때 하는 소리이다. |
가사 | 얼럴럴 상사데야
얼럴럴 상사데야 하나 두 분이 매시더래도 얼럴럴 상사데야 열스물이 매는 듯이 얼럴럴 상사데야 우렁차게 합력을 하야서 얼럴럴 상사데야 신농씨 본을 받아서 얼럴럴 상사데야 농사 한철을 지어를 봅시다 얼럴럴 상사데야 물이 많어 수답일러냐 얼럴럴 상사데야 물이 없어 건답인가 얼럴럴 상사데야 건답 수답을 다룰 직에 얼럴럴 상사데야 용용자 논을 갈고 얼럴럴 상사데야 거북구자 밭을 갈아 얼럴럴 상사데야 건답 수답을 다뤄노니 얼럴럴 상사데야 갖은 벼씨를 구해를 봅시다 얼럴럴 상사데야 여주이천에 광술베이냐1) 얼럴럴 상사데야 이천하고도 자채벤가2) 얼럴럴 상사데야 일꾼 하나를 두었더니 얼럴럴 상사데야 막걸리 한잔을 디렸더니 얼럴럴 상사데야 나갈제는 빈바리고 얼럴럴 상사데야 들어올젠 찬바리라 얼럴럴 상사데야 뒤에는 멍에노적3) 얼럴럴 상사데야 앞에는 앞노적인데 얼럴럴 상사데야 앞뒤로다가 노적을 쌓으니 얼럴럴 상사데야 난데없는 봉학이 와서 얼럴럴 상사데야 이 날개를 탁치면은 얼럴럴 상사데야 저리 천석이 점지가 된다 얼럴럴 상사데야 저 날개를 툭탁치니 얼럴럴 상사데야 이리 천석 저리 천석 얼럴럴 상사데야 이천석으로 노적이 되니 얼럴럴 상사데야 그들 아니 좋을소냐 얼럴럴 상사데야 1)광슬베 → 광술벼:벼의 일종. 2)자채베 → 자차벼:벼의 일종. 3)멍에노적:멍에 모양으로 생긴 노적인데 풍족하게 많다는 뜻이라고도 한다. 4)수화는 명명하야:물과 불이 맑고 밝다. 5)동방석 → 동방삭(東方朔):중국 한나라 무제때의 한 사람.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어 죽지 아니하고 삼천갑자(甲子)를 살았다고 함. 6)임시발복(臨時發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