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대허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중원군 주덕읍 신양1리의 논매는소리-대허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석태, 신태학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이석태, 뒤/신태학 외 |
지역개관 | 주덕읍은 1995년 5월에 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지만 마을의 역사는 불과 40-50년으로 짧다고 한다. 신양리는 주덕읍 소재지로 원래는 주덕면 재내리 방주간의 뗏집거리라고 했다. 이 곳은 옛날부터 노는 땅이 많아서 떼(잔디)가 많았다. 이 떼를 직사각형으로 오려서 파가지고 벽을 쌓고, 위에는 초가지붕을 얹어서 지은 집이 뗏집인데 이러한 뗏집이 5-6채 정도 모여 살던 마을이라고 한다. 주덕읍의 소재지는 원래 창전리 음버들에서 이곳으로 옮긴 것이며 약 60여년전에 장이 서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번창했다. 장은 5일장으로 3일과 8일에 서는데 인근 마을인 신니, 노은, 이류면까지 모여들어 4개 면이 모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8일에 충청북도 중원군 주덕읍 신양1리에서 채집한 대허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석태, 신태학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이듬(두벌) 논맬 때 부르는 소리이다. |
가사 | 어화 얼씬 대허리야
어화 얼씬 대허리야 어화 얼씬 대허리야 어화 얼씬 대허리야 일평상에 무슨 죄로 어화 얼씬 대허리야 이 세상에 태어나서 어화 얼씬 대허리야 삼십 중년 젊은 몸이 어화 얼씬 대허리야 사시장천 바쁜 길에 어화 얼씬 대허리야 오천중병 생각하니 어화 얼씬 대허리야 육천간장이 다 녹는다 어화 얼씬 대허리야 칠푼송판1) 차대찬방 어화 얼씬 대허리야 팔을 비고 누웠으니 어화 얼씬 대허리야 구비구비가 눈물일세 어화 얼씬 대허리야 십년살 것 생각드니 어화 얼씬 대허리야 백년보다 아득하구 어화 얼씬 대허리야 천년살 것 생각드니 어화 얼씬 대허리야 만년보다도 아득하구 어화 얼씬 대허리야 어하 얼씬 대허리야 어화 얼씬 대허리야 어하 얼씬 대허리야 어화 얼씬 대허리야 정월이라 대보름은 어화 얼씬 대허리야 답교하는 명절인데 어화 얼씬 대허리야 청춘남녀 짝을 지어 어화 얼씬 대허리야 양양삼삼2) 노니는데 어화 얼씬 대허리야 우리임은 어데가고 어화 얼씬 대허리야 망월3)가잔 말이 없나 어화 얼씬 대허리야 이월이라 한식절은4) 어화 얼씬 대허리야 개자춘에도5) 녹이로다6) 어화 얼씬 대허리야 북망산천 찾어가서 어화 얼씬 대허리야 무덤 안고 통곡하니 어화 얼씬 대허리야 너 왔느냐 소리도 없구려 어화 얼씬 대허리야 삼월이라 삼짓날은 어화 얼씬 대허리야 연자두7) 찾아오고 어화 얼씬 대허리야 좋구나 1)칠푼송판:칠성판을 말한다고 하나 위의 내용에서는 죽어서 누운 것은 아니다. 2)양양삼삼:재미나게 논다는 뜻. 3)망월(望月). 4)한식(寒食):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 나라에서는 종묘와 각 능원에 제향을 지내고 민간에서도 성묘를 한다. 한식의 유래에는 중국 고속(古俗)에 이 날은 풍우가 심하여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왔다는 설과, 중국 진(晉)나라의 현인(賢人)개자추(介子推)가 이 날 산에서 불에 타 죽었으므로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이 날은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는다는 설 등이 있다. 5)개자춘 → 개자추(위의 각주 참고). 6)녹 → 넋. 7)연자:제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