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중원군 주덕읍 신양1리의 중원군 주덕읍 신양1리, 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순배, 송재호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김순배, 나/송재호 |
지역개관 | 주덕읍은 1995년 5월에 면에서 읍으로 승격되었지만 마을의 역사는 불과 40-50년으로 짧다고 한다. 신양리는 주덕읍 소재지로 원래는 주덕면 재내리 방주간의 뗏집거리라고 했다. 이 곳은 옛날부터 노는 땅이 많아서 떼(잔디)가 많았다. 이 떼를 직사각형으로 오려서 파가지고 벽을 쌓고, 위에는 초가지붕을 얹어서 지은 집이 뗏집인데 이러한 뗏집이 5-6채 정도 모여 살던 마을이라고 한다. 주덕읍의 소재지는 원래 창전리 음버들에서 이곳으로 옮긴 것이며 약 60여년전에 장이 서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번창했다. 장은 5일장으로 3일과 8일에 서는데 인근 마을인 신니, 노은, 이류면까지 모여들어 4개 면이 모인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8일에 충청북도 중원군 주덕읍 신양1리에서 채집한 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김순배, 송재호가 참여하였다. |
가사 | 가:언년아범 거동보소 거동을 보소
밥 한냄비를 닥닥 긁은 걸 혼처 다 먹었네 나:허공 중천에 뜬 구름은다가 비나 올려고 떴지만 임자 당신 맘달뜬 것은 어이 한단 말이야 가: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야 시월이 가기는 바람결두 같고 사람이야 늙기는다 꿈결두 같다 나:한달에 두세번씩 편지질을 말고서 일년에 한번씩만 다녀를다 가세요 가:아리랑 영감아 꽂감아 일어나소 보리방아 품 팔어서 보리개떡1) 쪘네 나:일글렀구나 영글렀구나 일글렀네 시집가고 장개가기는 영글렀구나 가:아리랑 상상봉 말랑에 외로이 서 나무 날과두야 같이두 홀로 서 있구나 나:아 아실아실에 춥거들랑은 내품에나 잠 들고 벼게가 낮거들랑은 내팔을 비어라 가:신작로 끊어진 것은 흙으로 잇으면 되지 너하구야 나하구 정 끊어진 것은 뭣이로다가 잇느냐 1)보리개떡 : 보리겨를 가루로 만들어서 콩, 당가루를 넣어서 찐 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