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에헤야 어허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내구의 논매는소리-에헤에 어허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임원섭, 맹승호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임원섭, 뒤/맹승호 외 |
지역개관 | 구곡리는 내구와 외구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구는 양지말과 평지말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내구에는 예전에 80호가 넘었지만 지금은 35호가 살고 있으며 이 중에서 30호 정도가 상산 임(림)씨이다. 상산 임씨는 제일 먼저 진천에 들어 온 성으로 외구에도 상산 임씨가 많고 전주 이씨가 10여호 된다. 논은 주내, 새봇들에 있다. 전에는 군배양달, 학배, 단쟁이, 유원개, 살고개 밑에, 대수리 등 물이 흐르는 구비구비마다 골이 있어서 전부 밭이었는데 청주 저수지가 생기면서 모두 물에 잠겼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2일에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내구에서 채집한 에헤에 어허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임원섭, 맹승호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에헤에 어허야 에헤이 에야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천하지대본은 농사밖에 또 있느냐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이 논자리 심어 놓아 장잎이 훨훨 영화로다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부모님 봉양도 하련만은 나랏님 진생이 늦어간다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사해창상 농부님들 이내말쌈 들어보소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이 논자리 얼른 매고 장구배미로 넘어가세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좌에 우에 가는 농부 처진 농부를 꺼올리게1)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호미잽이 농부도 손을 주고 김잽이 농부도 손을 주게2)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잘도하네 잘도하네 우리농부들 잘도하네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산넘이 꼭대기 기화를 붙여 점심챔이 늦어간다3)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술도 먹고 담배 피고 손발 씻구서 쉬어하세 에헤에 에헤야 에헤이 에야호 1)좌에~꺼올리게:선소리꾼이 왼쪽과 오른쪽의 양옆에서 매는 농부보고 가운데에서 매고 있는 복판을 도와서 끌어 올려 주라는 소리이다. 2)호미잽이~손을 주게:호미잽이는 왼쪽이고 김잽이는 오른쪽이다. 3)산넘이~늦어간다:해가 중천에 떠 올라 뜨거운데도 참이 나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이 나올 시간이 지났다는 의미라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