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에야헤 헤이여루 상사나뒤요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 산직의 모심는소리-에야헤 헤이여루 상사나뒤요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1223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충청북도 > 진천군 |
생산지역 상세 | 문백면 계산리 산직 |
언어 | 한국어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CD 05 , 모심는소리 , 에야헤헤이여루상사나뒤요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충청북도 , 충북 , 진천군 , 1993 , 1995 , 에야헤 헤이여루 상사나뒤요 , 정후택 , 김이환 외 , 메기고 받는 소리 , |
실연자 | 정후택, 김이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후택, 뒤/김이환 외 |
지역개관 | 계산리는 산직(1리)과 낙계(2리), 신리(3리)로 형성되어 있다. 산직은 연일 정씨가 많이 살고 있지만 남양 홍씨가 먼저 터를 잡았고 남양 홍씨 산지기가 많이 살아서 산직이라 했다. 산직안에도 안적골, 마골, 산직의 세 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수는 산직만 23호이고 안적골에 8호, 마골에 13호가 살며 낙계에는 30여호, 신리는 42호가 산다. 신리는 해주 오씨 집성촌이고, 낙계는 연일 정씨 집성촌이다. 마을 뒷산인 국사봉은 남양 홍씨 산으로 토성이 있으며 산세가 좋아서 인재가 많이 난다고 한다. 국사봉을 경계로 그 넘어가 고구려권이고, 이 곳은 신라권이며, 서쪽은 백제권으로 김유신의 생가가 가까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3일에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 산직에서 채집한 에야헤 헤이여루 상사나뒤요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후택, 김이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루 상사나리요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농사근본에 쌀농사니 정성들여서 심어주오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신농황제씨 유업이니 농사밖에두 또 있느냐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춘분청명에 곡우지나 망종철에 모를 심어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하지여름 지나가면 추수동장 우리로다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천만년을 이어 온 농사 벼농사가 제일인데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부국강병 좋을시고 많은 양식이 제일이라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시화연풍 호시절도 오늘 두구서 한 말일세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여보시오 농부님네 금일 종자 귀중할손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황공진상이 분명하구 우리자손들 먹구 사니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농천하지대본이라 농사밖에두 또 있느냐 에헤야 헤에 헤헤헤이여루 상사나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