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오호아 에헤호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 산직의 논매는소리-오호아 에헤호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전석영, 김이환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전석영, 뒤/김이환 외 |
지역개관 | 계산리는 산직(1리)과 낙계(2리), 신리(3리)로 형성되어 있다. 산직은 연일 정씨가 많이 살고 있지만 남양 홍씨가 먼저 터를 잡았고 남양 홍씨 산지기가 많이 살아서 산직이라 했다. 산직안에도 안적골, 마골, 산직의 세 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수는 산직만 23호이고 안적골에 8호, 마골에 13호가 살며 낙계에는 30여호, 신리는 42호가 산다. 신리는 해주 오씨 집성촌이고, 낙계는 연일 정씨 집성촌이다. 마을 뒷산인 국사봉은 남양 홍씨 산으로 토성이 있으며 산세가 좋아서 인재가 많이 난다고 한다. 국사봉을 경계로 그 넘어가 고구려권이고, 이 곳은 신라권이며, 서쪽은 백제권으로 김유신의 생가가 가까이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2월 23일에 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계산리 산직에서 채집한 오호아 에헤호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전석영, 김이환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세상에 사람 일생
어허아 에헤오호 어떤 사람 팔자 좋아 어허아 에헤오호 고대광실 높은 집에 어허아 에헤오호 네귀닥지 풍경달고 어허아 에헤오호 덩그렁 덩그렁하는 소리 어허아 에헤오호 우리농부 무슨 팔자 어허아 에헤오호 술만 먹고 밥만 먹고 어허아 에헤오호 논 파기만 힘을 쓰나 어허아 에헤오호 이 농사를 지어서루 어허아 에헤오호 나라에는 충성하고 어허아 에헤오호 가솔부친 모셔 살 제 어허아 에헤오호 우리부모 날 길러서 어허아 에헤오호 이런 일을 시길적에 어허아 에헤오호 내가 어찌 이리 하나 어허아 에헤오호 부모봉양 못하고서 어허아 에헤오호 세상세상 웃는 재미 어허아 에헤오호 어화 세상 벗님네야 어허아 에헤오호 이내 말쌈 들어보소 어허아 에헤오호 우리 인생 한번 가면 어허아 에헤오호 다시 오기 어려워라 어허아 에헤오호 우리 한 번 죽어지면 어허아 에헤오호 싹이 나나 움이 나나 어허아 에헤오호 원통하며 애달플세 어허아 에헤오호 이 몸 한 번 늙어가면 어허아 에헤오호 어느 친구 날 찾을까 어허아 에헤오호 좋은 음식 시어지면 어허아 에헤오호 수채구녕을 찾어가고 어허아 에헤오호 좋은 옷도 헤어지면 어허아 에헤오호 물걸레로 돌아가고 어허아 에헤오호 이 몸 한 번 죽어지면 어허아 에헤오호 북망산천 찾어가고 어허아 에헤오호 어허하 에헤오호 어허아 에헤오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