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여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의례요 > 장례요 > 운상 > 상여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원군 문의면 도원리 도황골의 상여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동만, 우재현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정동만, 뒤/우재현 외 |
지역개관 | 도원1리는 도황골과 목골의 두 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수는 도황골에 42호, 목골에 14호가 살고 있다. 마을주민의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특수작물인 고추, 수박, 딸기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칠월 칠석날 돼지 잡고, 머슴들에게 옷 해주는 백중을 지냈다. 도원2리는 아직도 정월 대보름날 풍물을 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26일에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도원리 도황골에서 채집한 상여소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동만, 우재현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에헤이 헤하 어허이 헤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여보시오 시주님네 이내 한 말씀 들어를 보오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천지천지하 분한후에 상남하서를1) 일어를 나서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세상천지하 만물중에 사람밖이나 또 있느냐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이 세상에야 나온 사람 뉘에야 덕으로 탄생을 했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하나님전에 공을 빌고 칠성님전에2) 명을 받아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석가여래다 두손 모아 이 세상을 탄생할 때에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아버님전에 뼈를 빌고 어머님전에 살을 빌어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이 세상을 탄생하니 어느 시절이 맞단말이냐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머리 비어서 신을 삼아 드려도 우리 부모 은공은 못 다 갚노니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이를 빼어서 징을3) 박아 드려도 우리 부모 은공은 못 갚느니라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에헤 헤하 어허이 헤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갈지자로 굽은 길도 살대 같이 곧게 잡어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앞산을 바라보니 우리야 갈 길이 창창쿠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마주막 가는 이 마당에 누구든지 돌아 보고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저 산이 어드메뇨 나는 마주막 가는 길인데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왔던 길은 멀어지고 우리야 갈 길은 가깝구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우여우여우여 우여 (음반에는 여기까지 수록함) 무정세월이 여류하와 이삼십을 당도를 하니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인생생존 불효를 놓고 가택이라고 하였더니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한두살에는 철 몰라서 부모야 은공을 못다나 갚고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졸면 가고 부르면 오는데 세상만사가 다 틀렸구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귀밑머리 마주 풀고 암탉수탉 마주 놓고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암탉수탉은 봉황이 되고 청실홍실은 금실1) 되어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가네 가네 나는 간다 이제 가면은 언제나 오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명년 이때야 춘삼월에 꽃은 피어서 만발하고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잎은 피어서 청산될 때에 이내 몸이 돌아올까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뒷동산을 바라보니 나의 갈길이 가까웠구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옹솥에 삶은 개가 커거컹 짓으면 오시려는가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에헤 에헤 어허이 에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명년 봄이 다시 오면 잎도 다시나 피련마는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이내 인생이 숨 떨어지면 움이 날까 싹이 나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이내 인생이 죽어를 지니 영결종천이 고만이로구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무정세월아 가지를 마라 아까운 청춘 다 늙는구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여보시오 상주님네 맏상주님좀 앞으로 오세요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마주막 가시는 부모님위해 노자돈이라도 보태줘야지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거저 가기가 서운하니 앞으로 오셔서 마주막 인사를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아침나절 성튼 몸이 저녁나절 병이 들어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인삼녹용 약을 쓴들 약덕인들 입을 소냐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질인법사 불러 들이면 경덕인들 입을 손가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에헤 에하 어기야 너기넘차 에하 어허 어하 에헤이 에하 1)상남하서`:`삼라만상을 말하는 듯. 2)칠성님`:`북두칠성을 日, 月, 火, 水, 木, 金, 土의 정수로 보고 이를 믿는 신앙이 칠성신앙이며 칠성은 수명장수, 소원성취, 자녀성장, 평안무사를 비는 대상이다. 3)징`:`신의 가죽창이나 말굽, 쇠굽 등에 박는 대가리가 크고 넓으며 길이가 짧은 못. |